윤병세 장관 "일본 과거사 이슈 동북아 화해ㆍ협력에 방해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1-08 08:4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오세중 기자 =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7일(현지시간) 아베 신조 총리의 신사 참배 등 일본의 우경화 행보 등 과거사 문제가 동북아 화해와 안정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일본이 진정성있는 행동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윤 장관은 이날 미국에서 존 케리 국무장관과 회담을 연 후 공동 기자회견에서 "케리 장관과 나는 불확실성이 증대되는 동북아의 평화와 협력을 증진하고, 긴장을 완화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하자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회담 후 공동기자회견을 열고 있는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존 케리 미 국무부 장관



윤 장관은 특히 "나는 과거사 이슈가 이 지역에서 화해와 협력에 방해가 되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며 "그리고 진정한 행동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설명했다.

윤 장관의 이 같은 발언은 일본을 직접 거론하기는 불편하지만 미국과 회담에서 과거사 문제가 동북아 안정에 해를 끼친다고 말해 일본의 태도변화를 우회적으로 지적한 것이다. 

하지만 케리 장관은 일본의 과거사 문제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하지 않았다.

윤 장관은 또한 최근 장성택 처형 이후 북한의 정세에 대해 "앞으로 북한 상황과 정책옵션들을 점검하기 위한 양국간 협의를 강화하기로 했다"며 "한미 양국은 이를 통해 불확실한 북한 정세에 대해 공동의 입장을 가지고 대응해 나갈 수 있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 장관은 또 "북한 비핵화의 실질적 진전을 위해 중국 등 관련국들과 긴밀히 협력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있다"며 "북한 내부의 유동적인 정세로 북핵 문제의 불안정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는 현 상황에 보다 잘 대처하기 위해 북핵 문제에 최우선순위를 두고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윤 장관은 이와함께 "한반도 통일을 향한 지속적 평화를 건설해나가기 위해 양국간 전략적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며 "우리는 북한이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를 통해 평화와 협력의 길로 나서도록 유인하기 위해 미국을 포함한 국제사회와 함께 노력을 배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북한이 도발할 경우 한미 양국은 견고한 연합방위태세를 토대로 단호하게 대응할 것"이라면서 "유엔 안보리가 즉각적으로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한국의 TPP(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 참여문제에 대해서는"한미 양국은 한국의 TPP 참여가 아ㆍ태지역의 경제적 통합에 이바지할 것이라는데 인식을 같이하고 양자간 협상을 촉진해내가기로 합의했다"고 전했다.

케리 국무장관은 "한반도 정세를 불안정하게 만드는 북한의 핵과 탄도미사일 프로그램, 확산 활동에 대처하는데 있어 한미 양국은 '한치의 빛'(inch of daylight)도 들어올 틈 없이 단결돼있다"고 말했다.

케리 장관은 "미국은 박근혜 대통령의 확고하고 원칙적인 대북접근을 지지하며 북한이 국제적 의무와 약속을 충실히 이행하는 길에 나서도록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어 "가장 중요한 것은 북한의 비핵화"라며 "우리는 북한을 핵보유국으로도, 또 핵무장국으로도 인정하지 않을 것"이라며 "이는 국제사회도 마찬가지"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