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 원내대표는 8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중진연석회의에 참석해 "(역사)교과서가 오히려 국민적 갈등의 원인이 되고 불필요한 갈등을 생산한다"며 "미래 세대를 위해서라도 국정 교과서 문제를 논의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이어 "새로운 시각의 교과서에 대해 자신의 시각과 다르다는 이유로 집단 따돌림하고 마녀사냥식으로 몰아내는 것은 문제"라고 했다.
그는 "특정 교과서를 채택하는 학교가 한 군데도 존재하지 않아야 된다는 목표로 활동하는 것 자체가 반지성적 행태"라면서 "어떠한 이유에도 역사는 진영 논리에 따라 춤을 추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최 원내대표는 "자율성과 공공성이 존중돼야 할 학교의 의사 결정에 집단적 압력을 가해 결정을 철회토록 하는 것은 또 다른 형태의 폭력"이라며 "교육부가 이에 대해 철저히 진상을 조사하고 부당한 압력이 있었는지 밝혀내 적절한 조처를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최 원내대표는 "역사 교과서를 검정 제도로 채택하는 것은 다양한 시각을 인정하기 위한 것"이라며 "검정 제도로 지나친 좌편향 역사 교과서밖에 없다는 논란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고, 지금도 시정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최 원내대표는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정체성과 자긍심을 갖고 국론을 모아 국가 발전의 원동력을 얻어야 한다. 미래 세대에 잘못된 역사관이 주입되면 건전한 시민으로 성장하는데 큰 걸림돌"이라며 "검정 교과서 제도가 오히려 국민적 갈등과 분열의 원인이 되고 불필요한 논란을 만든다면, 민족의 장래와 미래 세대를 위해서라도 국정 교과서로 돌아가는 방안을 진지하게 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