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는 8일 그린북에서 "경기 회복 조짐이 점차 강화되고 있지만 투자 등 민간 부문의 회복세가 아직 견고하지 않다"고 평가했다. 미국의 재정·양적완화 리스크 및 엔화 약세 등 대외 위험요인도 여전히 상존한다는 이유에서다.
기재부는 기존의 경우 미국의 재정·양적완화 리스크에 대해서만 대외 악재로 분류했었다.
기재부가 엔화 약세를 대외 위험요인으로 반영한 가장 큰 요인은 가파른 엔화 약세 국면 때문이다. 현재의 엔화 가치 및 절하 속도가 일정 수준을 넘어섰다고 보는 것이다. 엔·달러 환율은 작녕 12월말 기준 105.04엔으로 2012년말 대비 18.26% 상승했다.
미국이 양적완화를 축소하는 가운데 엔저가 지속되면서 국제적인 자금 이동 속도가 빨라지고 있는 것도 이유 가운데 하나다. 여기에 일본의 소비세 인상 문제가 겹치면서 일본 관련 대외 변수를 미국만큼 중요하게 봐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는 게 기재부의 설명이다.
엔화 약세가 지속될 경우 우리 수출은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일본 기업의 영업이익 증가로 가격 인하 여력이 확대되면 일본뿐 아니라 다른 주요 수출 시장에서도 경쟁이 심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