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일부 부처에서는 여전히 대통령의 소통에 대한 의미를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해양수산부가 대표적인 ‘불통’ 부처로 꼽히는 이유다. 해수부는 윤진숙 장관이 취임 초 불안했던 모습에서 벗어나 각종 해양 정책에서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는 평가다.
다양하고 과감한 정책을 추진하면서 리더십 부재라는 약점을 극복하고 있다. 오히려 윤 장관을 보좌하는 실무진에서 이상 징후가 나타나고 있다.
민심을 읽기 위한 노력이나 현장감 있는 정책은 뒷전이다. 다음달 예정된 올해 해수부 정책 방향 역시 철저하게 밀실 회의로 일관하고 있다. 모든 정책을 꽁꽁 숨긴 채 모르쇠로 일관하는 해수부 실무진의 ‘소통 부재’가 아쉬운 대목이다.
이는 윤 장관의 행보와도 정면 배치된다. 윤 장관은 최근 다양한 방향으로 여론의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무엇보다 조용하게 현장을 찾아 목소리를 귀담아 듣는 일이 많아졌다.
이와 달리 정책을 제대로 수립하고 해수부 전체 사업을 총괄하는 기획조정실은 ‘불통’의 길을 걷고 있다. 대외적으로 부처의 제1 부서로 꼽히는 기조실이 문을 굳게 걸어 잠근 상태에서 해수부의 미래를 기대할 수 있을지 의구심이 드는 것이다.
그렇지 않아도 해수부는 장관의 공식적인 행사에도 실·국장 등 고위실무자들의 참석률이 저조해 기강이 해이하다는 지적이 높다.
출범 한지 1년이 되지 않은 부처가 장관을 제대로 보좌해도 어려운 상황에 여론과 민심을 뒷전으로 하는 실무진의 태도는 해양산업의 미래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