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환경에너지 타운’…“환경·에너지 R&D기술 현주소”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1-08 17:3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6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열린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취재진 질문에 경청하고 있다.


아주경제 이규하·신희강 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신년 경제 혁신 방향으로 ‘친환경에너지 타운’을 들고 나오면서 온실가스 저감 등 환경 연구개발(R&D) 및 에너지 기술 확대가 탈력을 받을 전망이다. 환경·에너지산업 활성화를 가속화 시킬 친환경에너지 타운 복안이 기후변화 대응과 환경문제의 갈증을 해소하고 신(新) 에너지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창조형 경제로 주목받고 있다.

8일 환경부에 따르면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환경기술 연구개발(R&D) 등 우수한 환경기술을 발굴해 산업계에 활용될 수 있도록 기술의 이전과 중개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

급속한 자원고갈·지구온난화·생태계 파괴 등이 시급히 해결해야 할 범지구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지만 환경 기술은 누가 먼저 선점하는가 여부에 따라 전 세계적인 성장 정체를 돌파할 수 있는 무기될 수 있다.

특히 환경 창조적인 기술은 우리나라 중소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창조 시장 중 하나로 지목된다. 정부도 세계 환경시장의 규모를 약 9000억달러(약 936조원)로 추산하는 등 우리 환경기업에게는 기회의 장인 셈이다.

문제는 우수한 아이디어로 창조적인 기술을 개발하고 안정적인 사업을 할 수 있는 생산·소비 체계 구축이다.

이를 위해 환경부는 환경산업기술원을 전략기동부대로 환경기술 개발사업 지원에 열을 올리고 있다. 우선 환경기술원은 오는 2020년까지 글로벌탑 환경기술 개발사업에 정부지원금 782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또 환경산업 선진화기술 개발사업에는 총 3910억원, 환경정책기반 공공기술 개발사업 2700억원, 토양·지하수 오염방지기술 개발사업 1397억원 등이 책정돼 있다.

아울러 추진 과제로는 △환경서비스기술 개발사업(소규모사업) △생활공감 환경보건기술 개발사업 △환경융합 신기술 개발사업 △미래유망 녹색환경기술 산업화 촉진 사업 △기후변화대응 환경기술 개발사업 △폐자원 에너지화기술 개발사업 △협업형 환경기술개발 및 멘토링 지원 △환경 R&D 기술이전·중개 등을 지원한다.

괄목할 성과는 2008년 시작된 기술개발사업의 우수원천기술을 중소기업이 현장에 직접 적용·응용하면서 실용화 사업이라는 평가를 얻고 있다.

그동안 환경산업기술원이 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 사업을 펼치면서 2013년말 기준 매출 485억원(정부지원금 759억원의 2/3), 특허 99건 확보, 환경신기술 9건 획득, 녹색인증 5건(기술 4건·기업 1건) 지정 등의 성과로 나타난 것도 눈부신 결과다.

물론 중동지역 토양정화시장의 핵심 지역인 쿠웨이트에서 이 기술개발사업에 참여한 4개 기업(중소기업 3개)이 정화사업자 자격을 획득했고 지난 2012년 쿠웨이트에 유류정화설비 수출(약 12억원·에코필), 2013년 싱가포르 항만준설토 정화 실증사업 수주(약 4억원·현대건설) 등의 해외진출도 가시적인 성과다.

산업통상자원부도 창조경제 시대의 ICT(정보통신기술) 기반 에너지 수요관리 신시장 창출을 위한 미래 에너지산업 육성에 강한 의지를 표출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융합핵심기술개발에는 지난해보다 409억2300만원 늘어난 2242억9100만원을 배정하면서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군분투 중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2009년 이후 환경기술 분야의 연구개발 예산이 1.5배 증가했다”며 “2011년에는 환경기술의 국제경쟁력 확보를 위해 10년간 총 1조6000억원을 투입하는 차세대 에코이노베이션(EI) 사업을 비롯해 다양한 기술개발사업을 추진, 실용화 지원을 하고 있다. 기후변화 대응과 환경문제도 창의적인 아이디어만 있으면 새로운 가치와 시장을 창출하는 기회로 만들 수 있어 고스란히 친환경 타운에 이바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