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건강 관련 여행(의료관광)' 수입은 1억8710만달러로, 전년 동기(1억3830만달러)보다 35.3% 증가했다. 이는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6년 이래 최대치다.
건강 관련 여행 수입은 외국인이 수술이나 치료를 목적으로 국내에 입국해 쓴 지출을 뜻한다. 환전 당시 외국환은행에 밝힌 여행 목적이나 신용카드 결제 사용처를 토대로 구분해 집계한다.
이 기간 내국인이 같은 목적으로 해외에 나가 쓴 돈을 뜻하는 건강 관련 여행 지급은 8640만달러로 전년 동기(9730만달러)보다 11.2% 줄었다.
이에 따라 지난해 11월까지 '건강 관련 여행' 수지는 이미 1억70만달러의 흑자를 냈다. 월별로 보면 2012년 12월부터 12개월 연속 흑자행진이다. 2011년에는 1~11월까지의 흑자 규모가 4100만달러였다.
건강 관련 여행 수지는 매년 적자를 기록하다 2011년에 처음 연간 흑자(5220만달러)로 돌아섰다. 2012년에도 4380만 달러 흑자를 내면서 지난해까지 3년간 꾸준히 흑자를 기록중이다.
지난해 흑자규모가 1억 달러를 넘어선 데는 우수한 성형기술과 고급 종합검진서비스 등으로 외국인 의료관광객이 많이 늘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국관광공사는 지난해 11월 펴낸 '2013 한국 의료관광 총람'에서 지난해 의료관광 수입 총액이 1조107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