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사표가 수리된 1급은 △권태성 정부업무평가실장 △강은봉 규제조정실장 △류충렬 경제조정실장 △박종성 조세심판원장 △신중돈 공보실장 등이다.
국무총리실은 이날 이번 인사는 그동안 업무수행 노력과 성과를 엄정하게 평가해 최대한 반영한 것으로 조직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능력과 전문성에 따른 발탁인사를 병행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이번 국무조정실 1급 인사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규제조정실장 직위를 개방형직위로 변경하여 즉시 공모 절차를 진행하기로 했다.
이는 국정운영의 핵심과제인 규제개혁을 규제의 대상이었던 민간으로부터 전문가를 공모ㆍ선발해 공급자가 아닌 수요자 입장에서 강력히 추진하고자 하는 국무총리 의지를 표명한 것이라고 국무총리실은 설명했다.
그동안 국ㆍ과장 직위에 한정했던 개방형직위를 고위직인 1급(규제조정실장)까지 확대한 것은 과감한 규제개혁을 차질 없이 실천에 옮기기 위한 것이라는 설명이다.
또 이번에 교체된 국무총리비서실의 별정직 1급인 공보실장은 전문성 있는 인사를 중심으로 후임인선에 착수하기로 했다.
이날 국무조정실ㆍ국무총리비서실 인사에 따르면 △국정운영실장 심오택(유임) △정부업무평가실장 이철우(승진) △경제조정실장 조경규(전보) △사회조정실장 최병환(승진) △조세심판원장 김형돈(승진) △세종특별자치시지원단장 김효명(유임) △정무실장 김희락(유임) △민정실장 이태용(유임) 등이 승진 또는 자리를 옮기거나 지켰다.
한편 새해 벽두인 지난 1일부터 국무총리실 1급 고위공무원들이 줄사표를 제출하면서 관가가 술렁였었다.
이번 국무총리실 인사를 시작으로 인사태풍이 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현실화될 수도 있다는 관측이 다시 제기되고 있다.
이는 박근혜 정부 출범 2년을 맞아 보다 적극적인 국정운영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이 같은 전망에 힘을 보태고 있는 상황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