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임 환자' 30대 후반 ․ 40대 초반에서 증가율 최고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 인구 10만명당 30대 후반~40대 초반의 불임환자가 연평균 12.3%로 가장 증가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불임은 부부가 피임을 하지 않고 일상적인 성생활을 1년 이상 지속해도 임신되지 않는 경우다.

12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은 최근 5년간(2008~2012년)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해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불임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환자가 2008년 16만2000명에서 2012년 19만1000명으로 연평균 4.2% 증가했다.

연평균 증가율은 남성 11.8%, 여성 2.5%로 남성이 높았다.

가임여성(20~49세)의 나이를 고려해 같은기간 인구 10만명당 진료환자수를 분석한 결과 남성은 35~44세에서 연평균 증가율 16.2%로 가장 크게 증가했고 45~49세는 연평균 12.8%로 뒤를 이었다.

 여성은 35~39세에서 가장 크게 증가(연평균 증가율 10.8%) 했고, 40~44세는 연평균 10.5% 증가했다 .

2012년 기준, 연령별 인구 10만명당 진료환자수는 30~34세 여성이 3658명으로 가장 많았고, 35~39세 여성이 1920명, 25~29세 여성이 1352명 순으로 나타났다.

불임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비는 2008년 182억원에서 2012년 230억원으로 1.3배 증가했으며 건보공단에서 지급한 2012년 급여비는 143억원이었다.

정재은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산부인과 교수는 "남성 인자에 대한 검사가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불임 치료를 받는 남성이 크게 증가했다"며 "업무 스트레스ㆍ고령화ㆍ환경 호르몬 등이 남성인자 증가의 가장 큰 원인"이라고 말했다.

이어 "원인이 진단된 경우에는 치료가 분명하게 진행되지만, 원인 불명의 불임도 많게는 20%까지 보고되고 있어 불임의 기간이 길어지면 배란일 확인, 인공 수정, 시험관 아기 시술 등의 적극적 치료를 모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