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와 관련 의협은 오전 11시 집단휴진을 포함한 총파업의 시기와 방식 등을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의협은 오전 1시40분 의료제도바로세우기 전국의사 총파업 출정식 결의문을 통해 정부가 일방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원격의료법 개정안과 투자활성화대책 등 영리병원 추진을 반대하며 잘못된 건강보험제도의 근본적인 개혁을 강력히 요구했다.
또한 정부가 의협을 비롯한 모든 보건의료 전문단체의 의견을 무시하고 원격의료와 영리병원 추진 강행을 중단하지 않고 있는 것은 관치의료의 전형이라고 비난했다.
의협은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고 진료의 가치를 지키고 정부에게 엄중한 경고를 전달하기 위해 기한을 두고 정부의 태도 변화가 없을 시 총파업을 강행키로 했다고 설명했다.
전국의사 총파업의 시작일은 3월3일로 결정됐으나 정부의 입장 변화에 따라 의협 비상대책위원회를 통해 유보될 수 있다고 밝혀 대화의 여지를 남겼다.
이와 함께 의협은 정부가 제안한 민관협의체 참여여부에 대해선 불참키로 했고 의료계의 요구를 협의하기 위해 새로운 협의체를 정부 측에 제안할 방침이다.
의협은 지난 11일 오후 5시 서울 용산구 이촌로 의협 회관에서 550여명의 전국 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의료제도 바로 세우기 전국 의사 총파업 출정식'을 열었다.
이날 출정식은 8시까지 진행됐으며 이후 원격의료와 의료법인 자회사 저지방안 등에 대한 분과별 토의를 비공개로 진행했다.
'각 주제별 분과토의'에 이어 '종합토의'가 새벽까지 이어졌으며 한 분과 토의에서는 총파업 시기를 오는 3월3일 하자는 주장도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출정식에서 부터 종합토의까지 장시간 진행하면서 결정한 사안인 만큼 최종적인 투쟁 로드맵도 어느정도 완성됐을 것으로 예측된다.
한편 정부와 새누리당은 12일 오후 3시께 국회에서 당정 협의를 갖고 의협의 최종 결정에 따른 대응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앞서 정부는 만약 불법파업, 진료거부 행위가 발생하는 경우, 국민건강권 보호를 위해 관련 법령에 따라 엄정 대처할 것임을 밝힌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