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엔저 지속 시 자동차ㆍ기계ㆍ철강업계 타격"

  • 다만 엔저가 수출에 미치는 영향, 뚜렷하지 않아

아주경제 이수경 기자 = 엔화 약세(엔저)가 지속될 때 타격을 받을 수 있는 업종은 자동차와 기계류, 철강산업 등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다만 엔저가 우리나라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까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는 분석이다. 

12일 한국은행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기계류, 철강 등의 수출 부진에는 엔저의 영향이 어느 정도 파급된 데 기인한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2년 9월부터 지난해 10월까지 양국의 수출단가를 비교한 결과, 한국산 기계류는 일본산에 비해 상대적으로 15% 단가가 더 비싸졌고 자동차는 8%, 철강은 5% 가량 한국산의 단가 경쟁력이 약화됐다.

또 원ㆍ엔 환율이 1% 떨어질 때 한국산 자동차의 수출물량은 0.26% 줄고 철강은 0.27%, 기계류는 0.16% 각각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보고서는 2012년 9월 이후 진행되는 엔화 약세를 비롯해 1995년 이후 3차례에 걸친 엔저 시기에도 전체 수출물량은 증가하는 등 "엔저가 한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이 뚜렷하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이에 대한 근거로 한은은 글로벌 경기가 더 큰 변수로 작용하는 가운데 한국 제품의 비가격 경쟁력 향상, 해외생산 확대 등 양국간 수출 경쟁구도가 변화한 것을 꼽았다.

보고서는 "엔저가 한국의 수출에 미친 부정적 영향이 지난해까지는 제한적이었지만 엔화 약세 기조가 더욱 심화되면 다른 양상으로 전개될 수 있는 만큼 이에 대해 경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일본 기업이 그간 쌓은 수익을 바탕으로 단가 인하에 나서거나 신제품 출시 등 새로운 전략을 본격화하면 앞서 언급한 3개 업종은 특히 수익성이 더 악화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앞서 지난 9일 금융통화위원회 본 회의 후 김중수 한은 총재는 기자회견에서 "엔저의 영향은 미시적으로 취약산업의 문제점을 처리해주는 게 좋다"면서 "금융지원이 필요하다면 중앙은행이 간접적으로 지원하는 걸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