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국내 ETF 시장의 순자산총액은 작년 말 기준 19조4217억원으로 2012년 말(14조7177억원)보다 32% 증가했다. 이는 코스피 시가총액의 1.6%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2002년 개설 당시 국내 ETF 시장의 순자산총액이 3444억원이던 점을 고려하면 지난 11년간 연평균 49.4%씩 성장한 셈이다.
상장 종목 수는 146개로 1년 전보다 16개 늘었으며, 하루 평균 거래대금은 7925억원으로 전년도(5442억원)에 비해 45.6% 많아졌다. 같은 기간 유가증권시장 거래대금에서 ETF 거래가 차지하는 비중도 11.3%에서 19.8%로 8.5%포인트 높아졌다.
이 같은 ETF 시장의 성장은 투자자들이 분산투자와 저비용, 운용의 투명성 등 ETF의 장점에 주목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ETF 시장 투자자 중 개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35.9%로 전년(42.4%)에 비해 6.5%포인트 줄었다. 반면 외국인(27.5%)과 기관(20.1%) 비중은 각각 0.5%포인트와 2.5%포인트 커졌다. 기관 중에선 유동성공급자(LP)를 제외한 증권선물(9.9%), 펀드(5.9%), 보험(2.3%)의 참여가 두드러졌다.
상품 유형별로는 레버리지 ETF(41.0%)와 인버스 ETF(20.5%) 등 파생형 ETF 거래비중이 높았고 시장대표 ETF(31.2%)가 뒤를 따랐다.
ETF 운용사는 16개로 전년도와 변화가 없었다. 순자산총액 기준으로는 삼성자산(49.9%), 미래에셋자산(23.3%), 한국투자신탁(7.4%) 등이 상위그룹을 형성했고, 상장 종목 수는 미래에셋자산(46개), 삼성자산(30개), 한화자산(16개) 순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