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구입 예정자 “이미 집값 바닥… 하반기에 집 사겠다”

  • 하반기 매수 계획 50.2% … 45.2% “올 집값 보합세”

아주경제 이명철 기자 =올해 주택을 구입하겠다는 매수 예정자는 집값이 이미 바닥을 친 것으로 분석하고 있으며 하반기를 매수시기로 잡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제 폐지가 주택구입에 영향을 미쳤으며, 올해 집값은 보합세를 나타낼 것이라는 전망이 많았다.

12일 부동산정보업체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지난 6~10일 만 20세 이상 회원 중 올해 주택구입 예정자 33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주택 구입시기에 대해 27.5%가 4분기(10~12월)을 꼽았다.

이어 3분기(7~9월)는 22.7%로 절반 가량인 50.2%가 하반기에 주택을 살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2분기에 집을 사겠다는 응답자는 20.3%, 1분기는 15.5%로 상반기가 35.9%를 차지했다. 아직 주택 구입시기를 정하지 못했다는 응답자도 13.7%에 달했다.

집값이 언제 바닥을 칠 것인지를 묻는 질문에는 3분의 1 이상인 34.7%가 “이미 바닥을 쳤다”고 답했다. 이어 2분기(14.3%), 1분기(11.3%), 3분기(8.3%) 순이었다.

이미 집값이 바닥을 친 것으로 보면서도 하반기에 주택을 구입하겠다는 수요자가 많은 이유는 추격 매수를 하기보다 경기상황 등 변수를 지켜보고 신중하게 매입하려는 실수요자들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올 매매시장은 45.2%가 보합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1% 이상~3% 미만 상승도 37.1%였다. 하락(11.3%)보다는 소폭이라도 상승(43.7%)을 예상하는 응답자가 4배 가량 더 많았다.

주택 시장 변수로는 국내외 경기회복이 21.5%로 가장 많았고, 이어 전셋값 폭등(20.9%), 부동산정책·금리상승(각 13.7%) 순이었다.

주택구입 결정에 영향을 끼친 정부 정책은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폐지가 31.1%, 취득세 영구인하 29.9%, 서민주택구입자금 저리대출 확대 18.5% 순이었다. 공유형 모기지 시행은 4.7%에 그쳤다.

투자가치가 가장 높은 아파트 상품은 재건축(22.7%)이 꼽혔다. 입주 예정 아파트 분양권도 21.5%로 유망한 것으로 예측했다. 재개발 뉴타운, 청약 당첨 아파트가 19.7%로 뒤를 이었다.

구입하고자 하는 주택 규모는 전용 60㎡ 초과~85㎡ 이하가 55.0%로 절반이 넘었다. 주택 구입 이유는 내집마련용이 31.1%, 투자용이 25.7%를 각각 차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