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지난해 삼성·LG 겨냥한 '특허괴물' 공격 줄었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1-13 08:3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미국 이동통신회사·중국 스마트폰 제조사로 표적 옮겨

아주경제 이혜림 기자 = 삼성전자와 LG전자를 상대로 한 특허괴물의 공격이 지난해 다소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업체들이 방어 태세를 강화하는 가운데 특허 전문 업체들이 미국 이동통신회사와 중국 스마트폰 제조업체로 표적을 옮기고 있기 때문이다.

13일 미국 특허조사회사 '페이턴트 프리덤'에 따르면 지난해 '특허괴물'로 불리는 특허관리전문회사(NPE)들이 벌인 특허 소송은 모두 3134건으로 전년도의 2652건보다 482건 증가했다.

NPE는 각국의 특허를 사들이고 나서 특허 침해 기업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거나 로열티를 받아 수익을 올리는 기업이다. 인터디지털, 램버스 등의 NPE는 한국에서 매년 상당한 액수의 로열티를 챙기고 있다.

이 중 삼성전자는 NPE로부터 38건의 소송을 당했다. 이는 글로벌 주요 기업 가운데 특허괴물 소송이 다섯 번째로 많다. 그러나 삼성전자의 순위는 지난 2012년 3위(37건)에서 두 단계 떨어졌다.

LG전자의 순위는 2012년 5위에서 지난해 14위로 떨어졌지만 피소 건수는 25건에서 27건으로 두 건 늘었다.

같은 기간 애플의 순위도 1위(44건)에서 공동 2위(42건)로 내려갔다.

구글은 지난해 42건의 소송을 당해 애플과 함께 공동 2위에 올랐다. 구글의 전년도 피소 건수는 43건이었다.

특허괴물이 삼성전자와 LG전자에 제기한 소송 건수가 늘었지만 전체 순위가 하락한 것은 특허괴물의 공격이 미국 통신업체들에 집중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특허괴물로부터 가장 많은 공격을 받은 기업은 미국 이동통신업체 AT&T로 모두 51건의 소송을 당했다. 이는 2012년 피소 건수(24건)를 두 배 이상 넘어선 것이다. 순위는 2012년 6위에서 작년 1위로 단숨에 다섯 계단이나 올라갔다.

버라이즌은 애플, 구글과 함께 피소 건수 공동 2위에 올랐다. 피소 건수는 2012년 25건에서 지난해 42건으로 증가했다.

이밖에 스프린트 넥스텔의 순위가 17위(15건)에서 7위(32건)로 뛰었고, T-모바일을 소유한 독일 도이치텔레콤 순위가 29위(8건)에서 9위(31건)으로 올라갔다.

통신사들이 사업영역을 다각화하면서 미국 이동통신업계 1∼4위인 버라이즌, AT&T, 스프린트, T-모바일이 모두 특허 소송에 휩싸인 것이다.

실제로 휴대전화를 이용한 이메일 서비스 관련 특허를 다수 보유한 'NTP'는 버라이즌 등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 거액의 합의금을 받은 바 있다.

이밖에 HP(33건·6위), 델(32건·공동 7위)과 아마존닷컴(31건·공동 9위) 등 미국 기업들에 대한 특허괴물의 공세가 격화됐다.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중국의 휴대전화 제조업체 화웨이와 ZTE는 피소 건수 공동 11위에 올랐다. 화웨이에 대한 특허괴물 소송 건수는 13건에서 30건으로, ZTE는 16건에서 30건으로 대폭 늘었다.

한편 지난 5년(2009∼2013년)간 특허괴물과의 전체 법적 분쟁 순위에서 삼성전자는 1위 구글(192건), 2위 애플(191건)에 이어 3위(151건)를 차지했다. 이 기간 LG전자는116건의 소송을 당해 10위에 올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