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는 올해의 시정여건에 대해 박근혜정부의 본격적인 국정과제 추진과 6월 지방선거에 즈음하여 행정적인 변동성이 커지는 시기로 진단하며, 경기침체 지속에 따른 재정확보의 어려움, 사회적 욕구의 확대와 다양화에 직면할 것으로 전망했다.
염홍철 시장 주재로 진행된 이날 회의는 실·국·본부별 보고와 소관 분야 정책자문위원들의 의견청취, 시장의 당부사항 순으로 진행되었는데, 민선5기를 마무리하고 민선6기 출범을 준비하는 시기에 맞춰 시의성 있는 시책들이 많이 제시되었다.
먼저, 대전형 정부3.0 성공모델 추진과 창조경제 전진기지 구축 등 현 정부의 국정기조에 맞춘 사업들이 올해 역점 사업에 포함되었고, 협동조합과 사회적 기업 등 사회적 경제 관련 사업들이 경제분야의 주요 테마로 추진된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아울러 마을 만들기 사업을 비롯해 평생학습, 시민합창축제 등 시민참여형 사업들을 통한 사회적 자본 확충에 대한 노력들이 눈에 띄며, 원도심 활성화, 도안·구봉지구 도시개발사업, 도시철도2호선 및 충청권 철도망 건설 등 민선5기 굵직한 현안들도 올해의 역점사업으로 추진된다.
한편, 市의 보고자료에 따르면, 민선5기 시민과의 약속사업 132개 중 110건이 염 시장 임기 내 완료되고 나머지 22건은 6월 이후 지속적으로 추진될 예정이며, 임기 내 완료사업의 평균진도율은 현재 90%로 나타났다.
이날 회의에서 염홍철 시장은 그동안 대한민국 신중심도시 대전 비전의 가시화를 위해 노력해준 공직자들을 격려하며, 지방선거에 상관없이 시민을 위한 시정은 중단 없이 추진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현안사업의 차질 없는 마무리에 힘써 줄 것을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