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일본은 한국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주고 있다. 오히려 우리 정부 정책보다 일본의 통화정책이나 중국의 금융개혁이 한국 경제를 흔들고 있는 경우가 다반사다.
이에 따라 우리 정부는 한국 경제가 대외변수에 흔들리지 않는 강력한 돌파구를 찾기 위한 대안 마련에 착수 중이다. 우선 신흥국 개척이 대안으로 꼽힌다. 이른바 '포스트 차이나'를 발굴하겠다는 것이 정부의 복안이다.
15일부터 순방길에 오르는 박근혜 대통령과 경제사절단이 제일 먼저 인도를 찾는 것도 신흥국에 대한 경제협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그만큼 신흥국은 현재 한국 경제의 미래가 걸린 개척의 땅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식어버린 중국과 불안한 일본
중국 경제가 빠르게 식어가고 있다. 시진핑노믹스는 금융개혁 진통이 여전하고 경제성장률도 생각보다 더딘 흐름이다. 지난해 12월 31일 기준 달러당 위안화 중간가격(기준가격)은 6.0969위안으로 1년 만에 3% 하락했다.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상승했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매년 막대한 대미 무역흑자를 내고 있는 중국은 미국으로부터 계속 위안화 절상 압력을 받고 있다.
문제는 우리나라의 대중 수출 의존도가 상당히 높다는 것이다. 대중 수출품목 가운데 93% 이상이 원자재와 자본재다. 이 중 50% 정도는 중국에서 조립과 가공된 뒤 제3국에 수출하는 가공무역이다.
더구나 최근 중국에서 외국 기업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며 내수중심 정책을 펼치면서 중국 내 가공무역은 적잖은 타격이 예상되고 있다.
일본 경제는 지속적인 불안감이 노출되는 상황이다. 엔화 약세로 대변되는 아베노믹스가 지속적으로 돈을 풀고 있지만 성과는 미미하다는 지적이다.
오히려 자동차, 전기·전자 등 일본 수출 비중이 높은 업계는 일본 기업들과 경쟁에서 밀리며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자동차 업계에서는 원·엔 환율이 10% 하락할 경우 국내 자동차 수출은 12%가량 감소가 불가피하다는 전망이다.
◆신흥국의 매력…경쟁력은 충분하다
우리 정부가 신흥국에 눈을 돌리는 것은 대외변수에 지나치게 흔들리지 않겠다는 의지로 받아들여진다. 그렇다고 모든 신흥국을 대상으로 경제정책을 펼치는 것은 아니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신흥국 경제로 분류한 국가는 모두 154개국이다. 이 가운데 우리나라 정도 인구인 5000만명 이상을 가진 국가 중 도시화율, 무역수준 등을 고려해 지원과 전략을 구상해야 한다.
LG경제연구원이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인구 5000만명 이상, 구매력 평가 기준으로 소득 2000달러 이상으로 추려보면 16개국이 현재 우리와 교류할 수 있는 후보 국가라는 분석이다. 이들 국가를 한국 경제와의 관련성, 인구구조, 도시화 정도 등을 기준으로 압축하면 7~8개 국가 좁혀진다.
브라질과 인도를 비롯해 인도네시아, 멕시코, 베트남, 이란, 터키 등이 상대적으로 한국과 경제 교류가 가능한 국가로 꼽힌다.
박래정 수석연구위원은 "2000년대 들어 중국 특수를 가장 크게 누렸던 한국 경제로서는 중국 경제가 식고 있는 상황에서 포스트 차이나 시장을 찾는 작업을 결코 피할 수 없다"며 "최근 들어 신흥시장이 전반적으로 재평가 받고 있다. 신흥시장의 잠재력도 한층 세밀하게 따지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정부도 주도적으로 신흥국의 문을 두드리고 있다. 라오스, 베트남, 우즈베키스탄 등은 경제발전경험공유(KSP) 사업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라오스에 설립된 증권거래소는 현지에서도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대표적 KSP 사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신흥국 시장에 대해서도 어떻게 전략을 짜야 하는지 생각해야 할 거 같다"며 "고기를 주는 것이 아니라 고기 잡는 법을 가르치듯이 개도국 경제시스템을 도와주는 게 긴요한 것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