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내서는 모바일 오피스 보안위협의 유형을 상세하게 분석해 보호대책을 제시하고 해커의 다양한 공격 상황을 가정한 시나리오를 통해 보안위협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이를 통해 기술적·관리적 보호대책 및 운영자, 이용자 스스로 모바일 오피스 보안수준을 진단해볼 수 있는 보안 점검항목을 제공하고 있다.
현재 모바일 오피스를 도입․운영 중인 국내 기업 비율은 11%로 전년 5.3% 대비 2배 이상 증가하는 등 모바일 오피스 시장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서는 주로 마케팅, 직원관리, R&D, 물류 등의 업무분야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다.
최근 스마트폰 해킹, 악성코드 감염, 단말기 분실․도난에 따른 정보유출 문제 등 보안에 대한 우려로 인해 모바일 오피스 도입 시 비용절감, 업무효율성 제고 등 긍정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모바일 오피스 도입을 꺼리는 기업들이 여전히 많은 상황이다.
오승곤 미래부 정보보호정책과장은 “이번 정보보호 안내서를 통해 국내 기업들이 모바일 오피스를 안전하게 도입·운영해 모바일 스마트워크 환경 구축을 활성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미래부는 향후 모바일 오피스의 운영 환경, 신규 기술 및 트렌드 변화에 맞춰 보안위협 시나리오와 보안 점검항목을 업데이트하는 등 안내서를 지속적으로 개정할 예정이다.
모바일 오피스 정보보호 안내서는 한국인터넷진흥원 홈페이지(www.kisa.or.kr)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