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전북도에 따르면 국립수의과학검역원에서 고병원성 AI 관련 역학조사를 벌이던 중 지난 17일 오후 동림저수지에서 1000여마리의 가창오리가 무더기로 죽어 있는 것을 발견했다.
동림저수지와 고병원성 AI가 발생한 오리 농가와는 10㎞가량 떨어져 있다.
철새는 닭이나 오리보다 면역력이 강해 고병원성 AI에 감염되더라도 떼죽음한 사례는 현재까지 보고되지 않았다. 따라서 떼죽음 원인이 고병원성 AI라면 바이러스가 매우 강력할 가능성이 커 파장이 커질 전망이다.
이들 가창오리떼의 이동 경로도 모두 고병원성 AI의 위험 반경에 들 수 있다.
가창오리들은 대부분 저수지 안에서 죽은 채 발견돼 농약 등으로 인한 떼죽음은 아니라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은 죽은 가창오리 가운데 20여마리의 사체와 분변 등을 수거해 분석작업 중이다.
정확한 원인은 이르면 2~3일, 늦어도 7일 내에는 나올 것으로 보인다.
동림저수지는 해마다 가창오리를 비롯한 겨울 철새 10만여마리가 찾는 곳이다.
전북도 관계자는 "여러 정황을 보면 강력한 고병원성 AI에 감염돼 떼죽음했을 가능성이 의심된다"며 "만약 고병원성 AI라면 면역력이 강한 철새가 죽을 정도로 강력한 바이러스라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