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총회 화두는 '세계의 재편; 사회, 정치, 기업에 대한 영향(The Reshaping of the World: Consequences for Society, Politics and Business)이다.
클라우드 슈바프 WEF 회장은 "전세계 주요 국가에서 경기 회복을 위한 다양한 변화 노력이 있었으나 예상치 못한 결과도 생겨났다"고 말했다. 그는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 양적완화(테이퍼링)로 인한 신흥시장 자금 이탈을 예로 들었다.
또한 실업률이 늘면서 소득 불균형이 심화된 점도 지적했다. 때문에 이번 총회에서는 새로운 시대를 맞이할 사고 전환이 화두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보스포럼은 앞서 보고서를 통해 앞으로 10년간 세계 경제의 가장 큰 위험요소는 소득 양극화라고 밝혔다.
다포스포럼은 매년 전세계 세계 경영ㆍ경제 석학들이 모여 주요 경제 문제를 논의하고 해결점을 제시한다. 이번 총회에는 박근혜 대통령, 아베 신조 일본 총리,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 존 케리 국무장관 등 세계 정상들과 반기문유엔 사무총장, 김용 세계은행 총재,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 등 국제기구 수장들도 대거 참석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