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이를 위해 ‘상인 의식개혁, 시장별 특성화, 고객에게 감동을!’목표로 정하고 올해부터 2016년까지 3년간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대전시에 따르면 ▲전통시장 지원체계 정비, ▲시설 및 환경개선, ▲경영현대화 지원, ▲시장이용촉진 홍보 등 4대 과제를 정하고, 시장별 단계적 맞춤형 지원, 시설현대화사업 지속 추진, 전통시장 소액대출 확대, 단골마케팅 홍보강화 등 17개 단위사업을 적극 펼쳐 나가기로 했다.
전통시장 지원체계를 보면 지역상권형은 중앙․한민․문창시장, 특화전문형은 법동․으능정이, 근린생활형은 중리․송강․태평시장, 구조전환용은 유성․신탄진․역전시장 등으로 구분하여 발전로드맵과 연차별 지원계획을 수립추진하게 된다.
전통시장 시설 및 환경개선 사업은 2014년도에 59억 5천여만 원을 투입해 주차장, 아케이드, 고객지원센터, 안전시설 정비 등 9개 시장에서 20개 사업을 추진하며, 2015년 사업은 내년 5월까지 실태조사 및 심의를 하게 된다.
시장상인 경영현대화 지원은 영세상인의 자립기반 확보 및 고금리 해소를 위해 1점포당 500만원이내에서 소액대출을 확대하고 있으며 공동쿠폰발행, 세일, 경품 등 마케팅사업 지원과 상인대학을 6개 시장에서 확대 운영한다.
시민들의 전통시장 이용촉진을 위해 우수시장 5선, 특화먹거리골목 10선 등홍보 책자를 제작·보급하고, 한복특화거리의 이미지 쇄신 및 품질 좋은 한복에 대한 할인판매 협약체결, 자매결연 단체 및 기업 등이 전통시장 가는 날에 대대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적극 권장할 방침이다.
강철구 대전시 경제정책과장은“전통시장 빈점포를 청년 창업보육 사업과 연계하여 창업공간을 지원하거나, 공동물류창고를 설치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면서“현대적 쇼핑 환경을 조성하여 고객유입을 촉진하기 위해 품목별로 점포를 재배치하는 시범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