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태원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교수팀은 국민건강영양조사(2007~2010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1일 밝혔다.
연구팀은 25~64세의 대상자 중 임산부, 시간제 근로자, 군인, 학생, 주부를 제외한 총 8889명을 선정하고 남성 5241명과 여성 3648명으로 나누었다.
대상자를 생산직과 사무직으로 구분하였는데, 생산직은 서비스 및 판매종사자, 농림어업숙련 종사자, 기능원 및 관련기능 종사자, 장치․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단순노무 종사자(건설과 광산기술자)였고, 사무직은 관리자, 정부 공무원, 전문가, 사무종사자였다.
이후 근로시간과 비만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1주 근로시간을 40시간미만, 40~48시간, 49~60시간, 60시간 초과로 구분하고 비만(체질량지수 25 kg/m2 이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그 결과 남성 생산직의 경우 1주 40~48시간 일하는 근로자보다, 1주 60시간을 초과한 근로자의 비만이 발생할 비차비(OR) 가 1.647로, 비만해질 위험이 1.647배 높다는 결과를 얻었다. (95% 신뢰구간 1.262-2.151)
비차비는 어떤 집단과 비교해 다른 집단의 확률이 얼마나 높은지 나타내는 수치로 비교위험도와 비슷한 개념이다.
즉 남성 생산직의 경우 1주 40~48시간 일하는 근로자보다, 1주 60시간을 초과한 근로자의 비만이 발생할 비차비가 1.647인데, 이는 비만해질 위험이 약1.647배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장태원 교수는 “생산직 근로자가 장시간의 육체노동을 하면, 우리 몸의 시상하부-부신피질축의 이상으로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의 혈중농도가 높아지고 그 결과 식욕이 증가하여 지방이 축적돼 비만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사무직 근로자의 장시간 근로는 시상하부-부신피질축의 이상을 유발할 정도의 육체적 피로를 유발하지는 않고, 또한 여성의 경우 장시간 근로보다 신진대사, 월경, 출산, 폐경 등에 의한 호르몬 변화에 영향을 더 크게 받기 때문에 근로 시간과 비만의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김경수 가정의학과 교수는 “최근 우리국민의 비만 유병률은 30% 이상으로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체지방 및 복부지방이 많은 것이 특징으로 비만은 외모적인 문제뿐 아니라 당뇨, 고혈압, 동맥경화, 심혈관질환, 관절염, 심혈관 질환 등을 유발시키는 건강의 문제를 일으키는 주범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김 교수는 “하지만 간헐적 단식과 같이 식사제한에 의존하는 단기간의 감량은 탈모, 피로, 생리불순, 지방간 등 건강에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평소 과식하지 않고 물을 많이 마시며 스트레스를 극복하려는 긍정적인 마음을 가지는 것이 비만관리에 좋은 자세며, 고도 비만 환자일 경우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