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국내 백신 자급율을 2017년에는 20종(70%), ’20년까지 22종(80%)까지 끌어올릴 수 있도록 적극적 지원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식약처는 △임상단계 진행 품목 중점 지원 △폐구균 백신 등 고부가가치 백신 개발 등에 집중 지원키로 했다.
우선 종근당 등 7개 기업이 개발 중인 자궁경부암백신, 조류독감백신 등 11개 품목에 대하여 집중 기술 지원을 실시한다.
식약처는 국내 제조 백신의 개발부터 제품화에 필요한 기간을 단축하고 개발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행착오를 방지하기 위해 제도 및 기술지원을 지속적으로 실시키로 했다.
한편 식약처는 2010년부터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필수‧대유행백신 등을 국내에서 자급이 가능하도록 ‘원액’ 개발 기업을 대상으로 ‘글로벌 백신 제품화 지원단(협의체)’를 구성해 맞춤형 기술지원을 하고 있다.
그 성과로 엘지생명과학의 유히브주(헤모필루스인플루엔자 B형 백신)를 원액부터 생산하는 자급화에 성공했으며 일양약품도 연간 6000만 도즈 인플루엔자백신을 지난해 8월부터 자급화해 공급중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