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서울 태평로 금융위원회 본청에서 정찬우 금융위 부위원장이 주재로 열린 상황점검 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난 조영제 금융감독원 부원장(사진)은 2차 피해 관련 주장이 확산되고 있는데 대해 “검찰에서 USB를 통해 정보를 유출한 사람, 정보를 넘겼던 사람들을 체포해 자료를 압수했고, 공식적으로 2차 피해 우려가 없다고 확인해줬다”며 “(정보가) 나가지 않았기 때문에 2차 피해는 생길 수 없다”고 강조했다.
최근 구글에서 2차 피해를 당했다는 롯데카드 고객의 주장 역시 이번 사태와 무관하다는 것이 금융당국의 입장이다.
이해선 금융위 중소서민금융국장은 “롯데카드 고객이 구글에서 2차 피해를 당했다고 했는데 IP를 추적 결과 롯데카드가 아니라 구글 계정이 해킹 당한 것으로 밝혀졌다”고 설명했다.
과거에도 수차례 정보유출 사고가 발생했지만, 2차 피해 사례가 발생한 적은 없었다.
이 국장은 “해킹이나 금융보안사고가 2차 사고로 직접 연결된 피해 신고는 없었다”고 전했다.
이 밖에 금융위는 전날 정부 관계부처와 합동 발표한 ‘금융사 고객정보 유출 재발 방지 대책’은 1차 대책이라는 점을 들어 졸속이라는 지적을 반박했다.
고승범 금융위 사무처장은 “어제(22일) 대책을 발표한 이후 나온 많은 지적 중 하나 졸속이라는 것이었는데 졸속으로 발표하고 끝나는 것이 아니다”라며 “1월 초에 문제가 생기고 나서 여러 가지 문제점을 검토한 것 중 1차적으로 얘기한 것이고, 태스크포스에서 심도 있는 검토를 거쳐 2월 중 종합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법 개정 문제에 따른 대책 추진 지연 가능성에 대해 “당정협의회에서 이번 사태와 관련된 입법은 가능한 한 빨리 하자는 얘기가 나왔고, 2월 임시국회에서 처리할 계획”이라며 “워낙 중요한 사안이기 때문에 상반기 중 처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금융위와 금감원은 매일 오전 9시 30분 금융위 본청에서 정보유출 사고 관련 상황점검 회의를 실시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