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진순현 기자=제주시(시장 김상오)와 ‘쓰레기매립장 이설 협약’을 맺고 23년간 참아왔던 봉개동 주민들이 또다시 봉개동이 매립장 후보지로 거론되자 그동안 참아왔던 울분을 터트렸다.
봉개동쓰레기매립장주민대책위원회(위원장 김재호)는 24일 제주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봉개동 ‘폐기물처리시설확충계획’을 전면 철회하라고 촉구하고 나섰다.
김 위원장은 먼저 “이럴수는 없다. 23년동안 쓰레기매립장 악취와 살았다. 2차례에 걸쳐 연장했고 협약까지 맺었건만 또다시 폐기물 처리시설이라니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성토했다.
대책위에 따르면 제주시 봉개동 회천 쓰레기 매립장은 주민들의 의견을 무시한채 지난 1992년에 들어서 당초 10년간 사용하기로 약속했으나 2002년부터 2011년까지 다시 10년간 연장해줬다.
하지만 2차례의 연장에도 불구하고 또다시 기간을 연장하는 과정에서 2011년 3월 22일 제주시장은 4공구 매립완료가 예상되는 시점인 2016년 매립장을 다른 곳으로 이설해 주기로 해 협약됐다.
대책위는 “행정 당국의 계속된 약속불이행과 기만적 행위로 행정의 신뢰는 땅에 떨어졌고, 주민들은 분노하고 있다” 며 “또다시 봉개동에 대단위 광역폐기물처리시설을 추진한다는 것은 주민을 무시하는 행위”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대책위는 이어 “우리는 행정당국이 약속한 폐기물처리시설 운영기한과 이설협약을 믿었기에 고통을 참아낼 수 있었다” 며 “만약 봉개동을 쓰레기매립장 후보지역에서 제외하지 않는다면 이설을 준비하기 위한 연장과 관련해 어떠한 협의도 거부하며 4공구 매립완료시에는 매립장을 폐쇄하겠다”고 경고했다.
이어 “봉개동을 제외한 타 지역 후보지 선정에 적극적으로 나서달라. 청정한 자연환경을 기반으로 자연친화적이며 친환경마을로 발전을 추진하고 있다” 며 “광역폐기물처리시설이 들어선다면 봉개동의 추진하는 발전계획에 역행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질타했다.
이어 대책위원들은 한 목소리로 “우리의 요구는 제주시와 대책위원회 간에 맺은 협약사항을 지켜달라는 것이다” 면서 “이것은 지역이기주의가 아닌 참을 만큼 참아왔던 울분이 터진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자회견을 마친 후 봉개동 주민 80여명은 제주도청 앞에서 '폐기물시설 전면 철회'를 요구하는 시위를 이어갔다.
김 위원장은 “만일 제주시가 매립장 후보지에 봉개동이 계속 포함시킨다면 천막농성, 단식투쟁, 촛불집회 등을 진행해 거부의사를 표출하겠다”고 비토했다.
한편 매립장 후보지 5곳으로는 봉개동(2곳), 구좌읍 동복리(2곳), 조천읍 교래리(1곳)다.
현재 봉개동 회천 쓰레기 매립장은 포화상태에 이르렀고, 남아있는 4공구도 곧 부화상태에 이르게 되면서 제주도는 올해 폐기물처리시설 입지를 선정해 다음해까지 착공에 나선다는 방침이나 후보지를 선정하지 못해 사업추진이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