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후 동 조약의 발효일인 같은 해 12월 18일 마에다 도시카즈(前田利一) 임시대리대사를 장으로 하는 주대한민국 일본국대사관이 정식을 업무를 개시했다.
오늘에 이르기까지 37년간 정치 ・경제・영사・문화교류 등 일한관계 업무를 처리해 왔다.
일본대사관은 미국 대사관과 마찬가지로 한국민의 관심을 받는 장소이기도 하다.
하지만 그 관심은 긍정적 관심이 아닌 부정적 관심이다.
일본의 역사왜곡과 도발이 이어질 때마다 우리 민족의 서러움이 시위형태로 일본대사관 문 앞에서 펼쳐진다.
또한 위안부 할머니의 수요집회가 열리는 곳도 일본대사관 앞이라는 점은 일본의 과거사가 우리나라의 역사와 함께 얽혀 있음을 보여주는 장면이다.
이 일본 대사관은 최근 몇 년간 한일관계 긴밀해지면서 그 규모를 점차 확대해왔다.
지금은 본관(서울시 종로구 중학동 소재)을 중심으로 자국민 보호・사증(비자) 발급 등을 담당하는 영사부(종로구 수송동 소재), 그리고 문화교류와 대외 홍보를 담당하는 공보문화원(종로구 운니동 소재)의 3개소로 나누어 업무를 처리하고 있다.
이 외에 부산・대구・울산광역시를 포함하여 경상도를 관할하는 주부산 총영사관과 제주도를 관할하는 주제주 총영사관의 2개 총영사관이 있다.
하지만 종로구에 있는 일본대사관 본관은 확장을 계획했지만 반대에 부딪치며 고충을 겪기도 했다.
일본대사관 측이 제출한 신축 계획은 건물 최고높이가 32.4m에 이른다.
주한 일본대사관은 지하 1층, 지상 5층(높이 23.45m)인 기존 건물을 허물고 지하 3층, 지상 6층(높이 35.80m)의 규모다.
정부의 제재로 높이가 다소 낮아졌지만 일본이 이전에 신청한 계획에 따르면 신축 대사관의 건축 연면적은 11358㎡로 지금보다 3604㎡의 세 배가 넘는 규모이다.
현 일본대사관 부지는 문화재보호법상 경복궁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 중 5구역에 해당돼 신축 건물(평지붕) 높이는 14m 이하로 제한된다.
따라서 일본의 확장 노력에도 불구하고 일본 대사관은 난관에 봉착했지만 지난해 결국 수정안을 내놓으면 조건부 허락을 맞아 새로운 일본대사관 확장시대를 열어갈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