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26일 긴급 경제금융상황 점검회의에서 신흥시장 불안이 신흥국 구조적인 내부요인과 대외요인이 복합 작용해 장기화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감안, 최근 불안이 심화되는 국가의 시장동향과 글로벌 경제 영향을 중심으로 국내외 경제ㆍ금융상황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미국 양적완화 축소는 미국의 경기회복을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측면이 있지만 신흥국에 미치는 직접 또는 간접적인 영향을 감안할 때 우리 경제 하방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판단으로 풀이된다.
이를 위해 이미 마련된 시나리오별 컨틴젼시 플랜을 지속적으로 점검ㆍ보완해 어떠한 상황에도 대응 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운영할 계획이다.
시장불안 조짐이 발생할 경우에는 관계기관간 긴밀한 협조하에 컨틴젼시 플랜에 따라 신속ㆍ과감하게 대응함으로써 모처럼 살아나고 있는 실물경제 회복에 부담이 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는 것이다.
구체적 계획도 시행한다. 외채구조 개선, 재정건전성 유지 등 대외건전성 제고노력을 지속하면서 미국 등 선진국 경기회복세가 우리경제의 성장 모멘텀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도 강화한다.
특히 주요 정책이슈에 대해서는 해외투자자, 외신, 국제 신용평가사 등 글로벌 시장 주요 참가자에 대해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정책 신뢰성과 투명성을 제고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