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부산-하카다 등 4개 노선이 운항 중인 한-일 국제여객선은 지난해와 비슷한 116만6000명(0.5%감소)이 이용했지만 엔저 현상으로 한국인 여객은 10만여명 늘고 일본인은 10만여명 줄었다.
인천-청도 등 15개 항로가 있는 한-중 국제여객선은 2011년 이후 2년째 감소(2012년 2.8%↓, 2013년 9.2%↓)했다. 이는 인천-천진 항로가 지난해 3월부터, 평택-위해 항로가 5월부터 각각 운항을 중단했고 저가항공 확대에 따라 여객이 항공으로 몰린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반면 동해·속초-자루비노·블라디보스토크 등 2개 항로의 한-러 국제여객선은 지난해 2월 스테나대아라인 신규 취항(속초-블라디보스토크)에 따른 수송능력 확대로 전년보다 32.6% 늘어난 6만4000여명이 이용했다.
해수부는 인천-천진 항로가 3월 말부터 운항을 재개하기로 양국 사업자가 합의했고 평택-위해 항로로 2월 중 운항 재개를 위해 긴밀히 협의 중이어서 한-중 항로 수송실적이 회복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