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미룰 수 없는 문제인 만큼 북한의 제의 이후 지난 24일부터 이틀간 통일부 주도로 내부 회의를 통해 우리 입장을 마련하는 한편 오늘 대북 전통문을 보내 북한의 이산가족 상봉 제의 수용을 환영한다는 입장을 거듭 강조할 계획이다.
정부는 또 상봉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실무협의 방법을 제안할 예정이다.

이산가족 상봉 사진. <자료사진>
대북 전통문에는 이산가족 상봉의 구체적인 시기와 장소, 규모 등은 실무협의 방법이 정해지는 대로 이를 통해 별도 협의하자는 입장이 담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고령 이산가족들의 조기 상봉 염원과 키 리졸브 연습 일정 등을 고려해 한미 연합군사훈련이 시작되기 전인 다음달 중순께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추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북한이 2월 중순 상봉안에 동의할지는 아직 불투명하다
북한이 2월말부터 시작되는 키리졸브 훈련 등 한미 군사 훈련 중지를 요구해왔기 때문에 자신들의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지난해 추석 때와 같이 예정일 직전 행사를 일방적으로 무산시킬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따라서 북한이 한미 군사훈련 일정 등을 고려해 날씨가 풀리는 3월로 시기를 역제안할 가능성도 있다.
한편 유사시 한반도 방어를 위한 한미 연합훈련인 키 리졸브 및 독수리 연습 때 미군 항공모함과 전략폭격기가 일단 참여하지 않을 것으로 알려지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비록 북한이 요구하는 한미 군사훈련을 연례적인 훈련을 이유로 취소할 수 없다는 정부 입장을 여러차례 표명했지만 올해는 북한이 평화공세를 펴는 등 한반도 정세가 다른 점을 고려해 한미 군 당국이 미군 전략무기의 한반도 전개를 자제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