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개발연구원,"도내 사회적경제조직 24%, 지역사회에 수익금 환원"

아주경제 김문기 기자 =경기도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등 사회적경제조직에 관한 최초의 종합적인 실태조사 결과가 나왔다.
 
경기개발연구원 최석현 연구위원은 27일  '경기도 사회적경제 실태와 정책방향'보고서에서, 사회적경제조직의 경영과 지역사회 기여현황을 진단하고 향후 지원정책 방향을 제안했다.

2007년 사회적기업지원법  2012년 협동조합기본법이 제정되면서, 지난해 8월 현재 협동조합 366개 인증사회적기업 131개 예비사회적기업 240개 마을기업 148개 등 내에서 다양한 사회적경제 조직이 활동하고 있다.

이번 연구는 이 중에서 161개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활동실태를 조사했는데,조사대상 사회적경제조직의 평균고용인원은 22.4명으로 제조업은 17.2명, 사회서비스업은 20.5명, 기타서비스업은 27.5명이었다.

이중 정규직 근로자는 평균 9.3명으로 전체 유급근로자의 약 4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상품ㆍ서비스 판매지역은 경기도 전역이 전체의 39.8%로 가장 많았고, 소재 시 군지역 24.8%, 서울 및 수도권 전역 24.8%로 전체의 2/3가량이 도내 주민들만을 대상으로 사업 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업활동으로 얻는 수익금의 사용처를 묻는 질문에는 전체의 46.0%가 기업경영에 다시 재투자한다고 응답했으며, 지역사회에 직접환원 24.0%, 유보이윤으로 적립한다는 응답은 전체의 11.4%로 나와 아직 이윤창출을 통해 지역사회에 필요한 사업을 진행하는 사회적경제조직의 비중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석현 연구위원은 “경기도 사회적기업과 협동조합은 정부의 사회서비스 위탁사업 진행 및 지역취약계층 고용에 활동 초점을 두고 있다."며 "사업을 통해 창출한 이윤을 이용해, 지역사회 독거노인 지원과 경력단절여성 직업훈련 지원 등 직접 공익사업을 진행하는 단계까지는 나아가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에 “향후 사회적경제조직의 직접적 지역사회 기여활동을 강화할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