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주경제 신희강 기자 = "공공기관 정상화에 대한 의지가 없는 기관장은 자격이 없다. 실천의지가 보이지 않을 경우 사표도 불사할 것"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7일 재무구조상 근본적인 문제를 가진 일부 공기업의 사장에게 최후통첩을 건냈다. 올 연말까지 정상화 작업 시한을 정했지만, 1차로 8월말까지 직을 걸고 해결책을 내놓을 것을 강하게 경고한 것.
윤 장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일부 공기업의 경우 지난 정부부터 누적된 근본적인 문제가 전혀 개선되고 있지 않다"며 "해당 기관장들은 8월까지는 직을 걸고서라도 구체적인 개선안을 내놔야 한다"고 이 같이 말했다.
앞서 윤 장관은 산하 11개 에너지공기업 사장들을 불러 기관별로 경영정상화 계획을 점검하면서 한국석유공사, 한국가스공사, 3개 발전자회사 등 5개사의 제출안에 대해서는 미흡하다며 반려 조치했다. 이후 26일 이들 5개사의 계획안을 다시 점검하게 된 것이다.
윤 장관은 "부채와 방만경영은 연결되는 부문이 있다"며 "일부 공기업에 대해서는 향후 4~5년간 추정 제무재표 및 현금흐름을 꼼꼼히 살펴봤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해외사업을 역량 이상으로 투자한 일부 공기업의 경우 지금의 부채 급증이라는 결과를 낳았다"며 "현임 기관장이 적극 나서서 해결해야 하는 실천 의지를 보이지 않는 다면 경질을 면할 수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윤 장관은 다만 외부에서 우려하는 헐값 매각 등 핵심역량 처분 등에 대해서는 보안장치를 마련해 조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기재부와 핵심과 비핵심 역량에 대한 논의를 하고 있다"며 "특히 구조조정 과정에서 발전사들의 유지보수, 안전 등에 관한 사업비는 줄이지 말라고 조치했다"고 설명했다.
윤 장관은 이들 공기업의 부실이 과거 정부의 정책에 따른 제도적인 측면에서의 책임이 아니냐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현재 기관장이 책임져야 한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자원개발의 경우 개별적인 프로젝트에 대해서 정부가 사라고 얘기한 적은 없다"며 "투자 의사결정은 순수 기관장 100% 마음으로 추진된 것"이라고 못 박았다.
이어 "물론 정부가 정책적인 측면에서 유도는 했지만 개별적인 의사 측면에서는 공기관장이 결정한 사안"이라며 "설혹 과거 기관장 때의 문제라도 지금 기관장이 책임을 져야한다"고 피력했다.
끝으로 윤 장관은 이번 UAE 원전사업 현장방문에 대해 언급하면서 유전개발 사업을 국내 청년들의 해외 진출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현재 UAE에 원전 4기를 짓고 있는다는 측면에서 2000여명 이상의 해외 고용창출 효과가 기대된다"면서 "또 우리 청년들이 현장에서 교육, 훈련을 통해 제3국 진출 등 시장 개척이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윤 장관은 인도와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 업그레이드를 위해 인도 살만 쿠르시드 CEPA 장관이 3월에 방한할 예정이며 구체적인 일정을 조율 중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