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 안규연 기획처장은 "최우수 대학만 정원을 안 줄이고 나머지 대학들의 정원을 줄이겠다는 것은 결국 서울지역 대학만 정원을 안 줄이겠다는 것인데 이렇게 하면 안 된다"며 "줄인다면 모두 같이 고통을 분담하는 게 맞는다"고 주장했다.
김기홍 춘해보건대 기획처장은 "절대적 평가로 수도권 대학과 지방 대학을 평가하는 것은 지방 대학에 불공정한 처사"라고 비판했다.
대학 평가에 구조개혁 계획을 반영하겠다는 교육부 방침을 두고 "사실상 강제 구조조정"이라는 반응도 나왔다.
인천의 한 대학 관계자는 "결국 구조조정을 피하려면 평가에서 좋은 결과를 얻어야 하는데 자체 감축을 해야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는 딜레마가 있다"고 말했다.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인원 감축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유용상 울산대 기획부처장은 "울산지역은 미래부 소속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UNIST)와 교육부 소속인 울산대 등 4년제 대학이 2곳밖에 없다"며 "정원 감축이 이뤄지면 한 해 1만5000명 정도인 대입 수험생들의 역외 유출이 심화될 수밖에 없어 지역 고등교육 수준이 낮아지게 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정원 감축 방안을 예견했던 몇몇 대학들은 벌써부터 진행하고 있다.
경상대는 지난해 12월 '학생 정원 자율 감축계획 및 특성화 분야 학생정원 증원 원칙'을 마련하고 이 원칙에 대한 인센티브 지원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
또 공립 전문대학인 강릉도립대는 2014학년도 입시에서 13개 과 중 산업디자인과와 자동차과 등 2개 과를 없애 정원 20명을 감축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