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현지시간) 주요 외신들에 따르면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이날 오후 9시(미 동부시간) 워싱턴DC 의회 의사당에서 개최되는 상ㆍ하원 합동 회의에서 한 신년 국정연설(State of the Union)에서 “미국은 가만히 멈춰서 있지 않으며 나도 그렇게 하지 않을 것”이라며 “의회가 당파적 교착상태에서 벗어나 경제적 기회를 회복하기 위한 행동에 나설 것을 거듭 촉구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렇지 않으면 더 많은 미국인 가족들의 기회를 넓혀주기 위해 의회의 승인 없이 언제 어디서든 행동을 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날 국정연설에서 성장과, 중산층 강화, 계층 상승 기회 확대를 위한 정책을 강력히 추진할 것임을 밝혔다.
그는 “올해를 행동의 해로 만들자”며 “성장을 촉진하고 중산층을 강화하며 기회의 사다리를 세우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일련의 정책을 의회에 제안한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최저 임금인상, 장기 실업자 구제, 직업훈련 프로그램 확대와 같은 대형 경제정책을 행정명령을 통해 추진할 것”이라며 “연방정부와 새로 계약을 체결하는 근로자들의 시간당 최저 임금을 현행 7달러 25센트에서 10달러 10센트로 올리는 행정명령을 발동했다”고 말했다.
현재 연방정부 근로자들의 최저임금은 시간당 7.25 달러다. 지난 2007년 이후 그대로다.
오바마 대통령은 수백만명의 미국인들의 퇴직 후 생활을 위해 'myRA'라는 퇴직연금계좌를 만드는 정책을 추진할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행정명령도 내렸다.
또한 △새로운 일자리 창출을 위해 6개의 생산연구소들 설립 △연방 직업훈련 시스템 전면 재정비로 고용주들의 요구에 따른 '맞춤형' 프로그램 개설도 명령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근로소득보전세제를 개편해 소득 불균형을 해소하고 법인세 등의 세제를 개혁해 중산층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그랜드바겐'도 촉구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의회에 100만명 이상의 장기 실업자들에게 적용되는 실업수당 지급 프로그램을 3개월 이상 연장할 것을 촉구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날 연설의 대부분을 국내 문제에 할애했다. 국제 문제에 있어서는 아프간 전쟁, 이란 핵협상 등이 언급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