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는 의견서에서 사용후핵연료 관리 방안은 우리나라의 미래를 위한, 국가의 지속가능 발전 여부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국가적, 사회적 갈등 요소가 됐다며 갈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공론화에 참여하는 모두가 서로를 이해하고 각자의 위치에서 최선의 대안과 전략을 제시해 토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공론화 과정에서 사용후핵연료의 원전 부지 내 임시 저장, 중앙집중식 또는 분산식 중간 저장, 재활용, 최종 처분 등이 모두 심층적으로 다뤄져야하며 임시저장의 확장 기술, 사용후핵연료 재활용 기술, 고준위폐기물 감량 기술, 고준위폐기물 최종처분 기술 등 원자력계가 그동안 수행해온 연구개발 결과가 사용후핵연료 관리 방안에 대한 논의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학회는 지난해 12월 출범한 사용후핵연료 공론화위원회가 성공적으로 임무를 달성할 수 있도록 전문적이고 기술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임을 천명하고 학회의 의견을 제시했다.
우선 학문적·기술적 전문가의 집단으로 공론화위원회가 요청을 한다면 언제든지 과학기술적으로 자문할 준비가 돼 있고 공론화 위원회가 시급성을 감안해 중간저장을 중심으로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만 사용후핵연료 관리방안과 관련해 재활용, 재처리, 방사성폐기물 준위변환, 직접처분 등의 모든 기술적 분야를 연계해 검토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공론화를 통해 사용후핵연료 관리와 관련한 모든 갈등 요인은 신중하게 논의하고 과학기술적 사실에 근거해 국민이 공감하는 결과를 도출하고 충실히 이행되기를 바란다고 의견을 내놨다.
이번 의견서는 한국원자력학회가 산하 원자력이슈위원회를 통해 국가 현안인 사용후핵연료 관리 방안에 대한 학회 소속 전문가들의 의견을 모아 작성한 것으로 사용후핵연료 공론회 위원회에도 전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