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에 따르면 이들은 정체불명의 사설단체인 ‘도시에너지’, ‘시설관리’ 등 공공기관과 유사한 명칭을 사용, 안전점검을 나왔다며 소비자들의 경계심을 푸는 수법을 쓰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보일러 부품 교체, 배관 청소 등을 빌미로 정가의 2~3배가 넘는 비용을 받아 챙긴 뒤 사라지는 수법을 사용한다고 덧붙였다.
공사 관계자는 “가스보일러는 가스공급자인 도시가스사나 LPG 판매점에서 연 2회 안전점검을 의무적으로 실시하고 있다”며 “가스공급자나 보일러제조사가 아닌 정체불명의 사설업체에 점검이나 수리를 맡기면 높은 비용뿐만 아니라 자칫 사고의 위험도 크다”고 전했다.
한편 도시가스 점검원을 사칭한 사기 예방을 위해 지난해 11월부터 도시가스 안전점검 방문 일정을 핸드폰 문자(SMS)로 안내해 주는 서비스가 운영 중이다. 지역별 도시가스사 홈페이지나 전화 등을 통해 접수하면 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