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이징 = 중궈신원왕]
아주경제 배상희 기자 = 심각한 대기오염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중국 베이징(北京)시가 배기가스를 줄이기 위해 내년부터 ‘혼잡통행료’를 부과할 전망이다.
4일 파즈완바오(法制晚报)에 따르면 베이징시 환경부와 교통위원회는 차량 증가 억제를 통한 배기가스 감소 및 대기질 개선을 위해 ‘혼잡통행료 징수제’를 도입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중이다.
이에 따라 이르면 내년부터 출퇴근 시간 등 차량혼잡 시간대 저탄소 배출구역으로 지정된 구간에서 통행료를 징수하고, 주차비 차별화 지역을 늘리는 방안으로 시내 진입 차량을 통제할 예정이다. 또 전자 요금징수 시스템(ETC)을 병행 도입해 가시적인 정책 효과를 도모할 방침이다.
정책 담당자에 따르면 베이징시는 이탈리아 밀라노 정책 또는 영국 런던 모델 중 하나를 채택해 시행할 예정이며 현재 관계자들이 구체적인 방향을 논의중이다.
지난 2008년 시행된 '런던시 저탄소 배출구역 지정계획'은 낡은 디젤유 엔진을 사용하는 화물차와 버스와 스쿠터 등을 제한하고, 기준에 맞지 않을 경우 벌금을 물리는 것을 그 내용으로 하고 있다. '밀라노시 저탄소 배출구역 통행료 징수방안'은 시간대별로 차량혼잡 시간대를 지정해 통행료를 징수하는 방안으로 이를 통해 밀라노시 중심구역의 승용차가 19.2% 줄고 통행 속도가 11.3%나 빨라지는 효과를 거둔 바 있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리우환(六環)내 황색표지차량(黄标车, 자동차 배기기준 미달 차량) 진입 금지 규정과 함께 이 정책이 본격 시행되면 황색표지차량 대부분의 시내 진입을 억제하고 이에 따라 대기오염도 크게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간 베이징에서는 매년 늘어나는 자동차에 따른 심각한 대기오염이 최대 해결 현안으로 지적돼 왔다. 교통국에 따르면 베이징시에서 매일 1만대의 승용차가 새로 늘어나고 있고, 이에 오염물질 배출량 또한 매일 0.75t씩 증가하고 있다. 또 현재 베이징에서 운행되고 있는 스쿠터는 500여대로 1년간 오염물질 평균 배출량은 90만t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베이징시는 작년 9월 '2013~2017 베이징시 공기정화 행동 계획'을 발표하고, 대기오염 악화를 막고 교통난을 완화하기 위해 오는 2017년까지 시내 차량을 600만대 이내로 제한키로 했다. 또 지난 2011년부터 번호판 추첨제를 도입하고, 작년 말에는 추첨 번호판 수를 24만개에서 15만개로 줄여 매월 신규 승용차 증가를 2만대로 억제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