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봉철 기자 = 민주당 김한길 대표는 5일 여·야·정 및 시민사회가 참여하는 범국가적 ‘통일시대준비위’ 구성을 제안했다.
김 대표는 이날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정권이 교체돼도 바뀌지 않을 한반도 평화통일 정책의 마련을 위한 초당파적이고 범국가적인 공론의 장이 필요하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야당 대표로서 평화적인 남북관계를 재가동하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있다면 그 어떤 역할도 마다하지 않을 것”이라며 “남북 간의 반목과 오해를 불식하는데 야당의 긍정적 역할이 있다면 적극 찾아서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민주당은 흡수통일에 반대한다. 우리 사회가 감당하기 어려운 엄청난 혼란과 비용을 불러올 것이기 때문”이라며 “민주당은 튼튼한 안보를 바탕으로 대북포용정책을 통한 평화적이고 점진적인 통일을 추구하겠다”고 말했다.
최근 당내 갈등으로 비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는 경제·대북 정책에서의 ‘우(右)클릭’ 논란에 대한 속도조절로 풀이된다.
김 대표는 이날 연설에서 △상시국회·상시국감·상시예결위 추진 △만 18세 이상으로 선거연령 하향 △오후 8시까지 투표시간 연장 △국회로부터의 ‘선거구획정위원회’ 독립 △재·보궐선거 시 원인제공 정당의 공천 금지 △부정부패로 의원직을 상실한 비례대표 의원직 승계 금지 등 ‘2단계’ 정치혁신 구상에도 많은 기간을 할애했다.
아울러 국회의원 불체포·면책 특권의 남용 방지를 위한 여야 합의를 공개 제안했다.
이와 같은 김 대표의 행보는 새정치를 내세워 신당 창당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무소속 안철수 의원과의 정치혁신 경쟁에서 앞서 나가는 동시에, 6·4 지방선거를 겨냥한 이중포석으로 해석된다.
오는 11일 ‘새정치플랜’을 발표하는 안 의원보다 선제적으로 혁신안을 내놓음으로써 정치혁신 및 새 정치 이슈를 선점하겠다는 의도로 보인다.
실제로 김 대표가 이날 공개한 혁신안 중 부정부패로 열리는 재·보선에서 원인을 제공한 소속 정당의 공천을 금지하는 방안은 안 의원 측이 지난달 23일 공개한 지방자치 7대 대국민 약속에도 포함된 내용이다.
김 대표는 이날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정권이 교체돼도 바뀌지 않을 한반도 평화통일 정책의 마련을 위한 초당파적이고 범국가적인 공론의 장이 필요하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야당 대표로서 평화적인 남북관계를 재가동하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있다면 그 어떤 역할도 마다하지 않을 것”이라며 “남북 간의 반목과 오해를 불식하는데 야당의 긍정적 역할이 있다면 적극 찾아서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민주당은 흡수통일에 반대한다. 우리 사회가 감당하기 어려운 엄청난 혼란과 비용을 불러올 것이기 때문”이라며 “민주당은 튼튼한 안보를 바탕으로 대북포용정책을 통한 평화적이고 점진적인 통일을 추구하겠다”고 말했다.
최근 당내 갈등으로 비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는 경제·대북 정책에서의 ‘우(右)클릭’ 논란에 대한 속도조절로 풀이된다.
김 대표는 이날 연설에서 △상시국회·상시국감·상시예결위 추진 △만 18세 이상으로 선거연령 하향 △오후 8시까지 투표시간 연장 △국회로부터의 ‘선거구획정위원회’ 독립 △재·보궐선거 시 원인제공 정당의 공천 금지 △부정부패로 의원직을 상실한 비례대표 의원직 승계 금지 등 ‘2단계’ 정치혁신 구상에도 많은 기간을 할애했다.
아울러 국회의원 불체포·면책 특권의 남용 방지를 위한 여야 합의를 공개 제안했다.
이와 같은 김 대표의 행보는 새정치를 내세워 신당 창당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무소속 안철수 의원과의 정치혁신 경쟁에서 앞서 나가는 동시에, 6·4 지방선거를 겨냥한 이중포석으로 해석된다.
오는 11일 ‘새정치플랜’을 발표하는 안 의원보다 선제적으로 혁신안을 내놓음으로써 정치혁신 및 새 정치 이슈를 선점하겠다는 의도로 보인다.
실제로 김 대표가 이날 공개한 혁신안 중 부정부패로 열리는 재·보선에서 원인을 제공한 소속 정당의 공천을 금지하는 방안은 안 의원 측이 지난달 23일 공개한 지방자치 7대 대국민 약속에도 포함된 내용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