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동욱 기자 = 내수활성화를 위해 고소득층의 소비 확대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9일 '소득계층별 소비 여력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고소득층이 2006∼2012년에 소비여력의 10%를 더 소비했으면 연평균 신규 일자리는 16만8000개, 국내총생산(GDP)은 7조2000억원 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며 이처럼 밝혔다.
한국 실질 민간소비는 2013년 현재 실질 국내총생산(1135조원)의 50.6%에 해당하는 574조원에 달한다.
민간소비는 높은 파급력을 지닌다. 민간소비의 부가가치 유발계수는 0.817, 취업 유발계수는 19명이다. 이는 민간소비가 10억원 증가하면 부가가치와 일자리가 각각 8억1700만원, 19개 증가한다는 뜻이다.
특히 소비 여력이 충분한 고소득층의 소비가 중요하다. 소비 여력은 가구별 실질 가처분소득에서 소비지출을 뺀 액수다.
2012년 고소득층의 월평균 가구당 소비 여력은 264만원에 달하지만, 중산층은 73만원, 저소득층은 -24만원 수준이다.
고소득층은 중위소득의 150% 이상, 중산층은 50∼150%, 저소득층은 50% 미만에 속하는 계층으로, 2012년 기준 고소득층 가구 비중은 18.5%(303만 가구), 중산층 61%(1천2만 가구), 저소득층 20.5%(337만 가구)다.
고소득층은 국내보다 해외 관광을 선호하고, 주택 구입 지출은 크게 줄인 반면 전월세 지출은 늘린 것으로 분석됐다.
고소득층의 해외 단체여행 지출은 2006년 월평균 1만6000원에서 2012년 5만원으로 늘었지만, 국내 단체여행 지출은 1만5000원에서 1만원으로 줄었다.
이들의 주택·토지 구입 지출은 2006년 월평균 44만1000원에서 2012년 30만9000원으로 크게 감소한 반면, 전월세 임차 보증금 지급은 월평균 11만1000원에서 16만3000원으로 증가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고소득층의 소비지출 확대를 유도하는 동시에 중·저소득층의 소득 증대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며 "고소득층의 소비지출이 해외가 아닌 국내에서 보다 확대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9일 '소득계층별 소비 여력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고소득층이 2006∼2012년에 소비여력의 10%를 더 소비했으면 연평균 신규 일자리는 16만8000개, 국내총생산(GDP)은 7조2000억원 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며 이처럼 밝혔다.
한국 실질 민간소비는 2013년 현재 실질 국내총생산(1135조원)의 50.6%에 해당하는 574조원에 달한다.
민간소비는 높은 파급력을 지닌다. 민간소비의 부가가치 유발계수는 0.817, 취업 유발계수는 19명이다. 이는 민간소비가 10억원 증가하면 부가가치와 일자리가 각각 8억1700만원, 19개 증가한다는 뜻이다.
특히 소비 여력이 충분한 고소득층의 소비가 중요하다. 소비 여력은 가구별 실질 가처분소득에서 소비지출을 뺀 액수다.
2012년 고소득층의 월평균 가구당 소비 여력은 264만원에 달하지만, 중산층은 73만원, 저소득층은 -24만원 수준이다.
고소득층은 중위소득의 150% 이상, 중산층은 50∼150%, 저소득층은 50% 미만에 속하는 계층으로, 2012년 기준 고소득층 가구 비중은 18.5%(303만 가구), 중산층 61%(1천2만 가구), 저소득층 20.5%(337만 가구)다.
고소득층은 국내보다 해외 관광을 선호하고, 주택 구입 지출은 크게 줄인 반면 전월세 지출은 늘린 것으로 분석됐다.
고소득층의 해외 단체여행 지출은 2006년 월평균 1만6000원에서 2012년 5만원으로 늘었지만, 국내 단체여행 지출은 1만5000원에서 1만원으로 줄었다.
이들의 주택·토지 구입 지출은 2006년 월평균 44만1000원에서 2012년 30만9000원으로 크게 감소한 반면, 전월세 임차 보증금 지급은 월평균 11만1000원에서 16만3000원으로 증가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고소득층의 소비지출 확대를 유도하는 동시에 중·저소득층의 소득 증대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며 "고소득층의 소비지출이 해외가 아닌 국내에서 보다 확대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