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주경제 김문기 기자 =수원시(시장 염태영)는 공군비행장이전 종전부지 개발계획안을 마련, 향후 1년간 시의회 의견수렴과 시민공청회를 거쳐 3월중에 군 공항 이전건의서를 국방부에 제출한 예정이라고 12일 밝혔다.
군 공항 후보지로 선정되면 2020년까지 군공항 건설과 함께 이전주변지역 지원계획 마련 등 군공항 이전이 가시화될 전망이다.
시는 지난해 4월 '군 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하자 곧바로 후속대책 마련에 착수했는데,이후 국토연구원과 업무협약을 체결 ▲입지여건 및 주민의견수렴 ▲수원비행장 이전 비용 산출 ▲종전부지 활용방안 ▲사업 시행방식 및 재원조달 ▲이전주변지역 지원계획 등의 연구용역을 추진했다.
국토연구원이 1년 동안의 연구용역을 거쳐 마련한 수원비행장 이전 종전부지 개발 계획안에는, 비행장 이전부지를 친환경미래 첨단복합공간으로 조성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시는 공군비행장이전부지를 환경ㆍ문화ㆍ첨단기술 등 3가지 테마로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환경은 대중교통주거단지 및 에너지 자족형 주거단지, 은빛주거단지 등 친환경주거공간으로 개발되며, 문화는 전체 면적의 39%를 부지의 역사성 및 주변하천과 연계한 100만평 문화공원으로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100만평 문화공원 개발에는 야외음악당 박물관 미술관 어린이 공원들이 함께 들어서며, 기존 격납고 등을 이용한 문화시설 커뮤니티 공간 등 고품격 생활문화공간으로 배치할 예정이다.
또한, 첨단기술 테마는 광교테크노밸리 및 삼성연구단지 등과 연계한 새로운 R&D 벨트 조성해, 첨단 지식교류캠프와 최첨단 바이오 융합연구(BT) 및 국제의료복합단지 등으로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염태영 시장은 “수원비행장 이전 종전부지는 다가오는 미래 100년 대계와 동북아 경제권을 선도할 수 있는 거점공간으로 만들어 나갈 예정”이라며 “앞으로 10년간 군 공항 이전이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국방부 등과 적극 협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시는 12일 시의회의 의견수렴과정을 거쳐 오는 21일 오후 2시 고색고등학교 대강당에서 ‘수원 군공항 이전 건의안 시민공청회’를 개최 할 예정이다.
국토연구원이 1년 동안의 연구용역을 거쳐 마련한 수원비행장 이전 종전부지 개발 계획안에는, 비행장 이전부지를 친환경미래 첨단복합공간으로 조성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시는 공군비행장이전부지를 환경ㆍ문화ㆍ첨단기술 등 3가지 테마로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환경은 대중교통주거단지 및 에너지 자족형 주거단지, 은빛주거단지 등 친환경주거공간으로 개발되며, 문화는 전체 면적의 39%를 부지의 역사성 및 주변하천과 연계한 100만평 문화공원으로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100만평 문화공원 개발에는 야외음악당 박물관 미술관 어린이 공원들이 함께 들어서며, 기존 격납고 등을 이용한 문화시설 커뮤니티 공간 등 고품격 생활문화공간으로 배치할 예정이다.
또한, 첨단기술 테마는 광교테크노밸리 및 삼성연구단지 등과 연계한 새로운 R&D 벨트 조성해, 첨단 지식교류캠프와 최첨단 바이오 융합연구(BT) 및 국제의료복합단지 등으로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염태영 시장은 “수원비행장 이전 종전부지는 다가오는 미래 100년 대계와 동북아 경제권을 선도할 수 있는 거점공간으로 만들어 나갈 예정”이라며 “앞으로 10년간 군 공항 이전이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국방부 등과 적극 협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시는 12일 시의회의 의견수렴과정을 거쳐 오는 21일 오후 2시 고색고등학교 대강당에서 ‘수원 군공항 이전 건의안 시민공청회’를 개최 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