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무부가 배포한 발언록과 주요 외신들에 따르면 중국을 방문한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은 지난 14일(현지시간) 베이징 JW메리어트호텔에서 한 기자회견에서 “미ㆍ중 양국은 북한 비핵화 촉진에 대한 서로의 안을 제시했다”며 “사안의 긴급성을 고려해 앞으로 수일 동안 매우 진지하게 대화를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존 케리 국무장관은 “미·중 양국은 지금 구체적인 조치들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며 “미국은 일정한 안을 테이블에 올려놨고 중국도 나름의 일정한 안을 제시했다. 양측 모두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미·중 양국이 북한 비핵화와 6자회담 재개 등에 대해 매우 구체적으로 논의했음을 시사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존 케리 장관은 “진전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하고 무엇이 필요한지에 대한 우리 생각을 (중국의) 지도자들과 공유했다”며 “중국도 우리가 제시한 안을 검토하기로 합의했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이 제시한 구상을 귀국하면 버락 오바마 대통령에게 보고할 것”이라며 “이 문제에 대해 미·중 간 추가 논의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케리 장관은 “미·중 양국은 북한 비핵화에 대한 공유된 신념을 논의했다”며 “우리는 북한이 검증 가능한 비핵화를 향해 의미 있고 구체적이고 비가역적인 조치를 반드시 취해야 한다는 데 동의했고 지금 그것이 시작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나는 중국 측에 할 수 있는 모든 수단과 갖고 있는 모든 설득 방법을 동원할 것을 주문했다”며 “북한이 (기존 약속을) 이행하지 않고 테이블로 돌아와 대화에 진지하게 임하지 않으며, 핵 프로그램을 중단하지 않고 현재의 위협 행위에 대한 합의된 기준을 이행하지 않으면 중국은 비핵화 정책 목표 이행을 확실히 하기 위해 추가적인 조치를 취할 준비가 돼 있음을 분명히 했다”고 밝혔다.
또한 “이 비핵화 정책 목표는 6자회담 참가국들과 공유하는 것”이라며 “이를 달성하기 위한 매우 확고한 신념이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중국은 한반도 상황이 불안정해지거나 전쟁이 발발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분명히 했다”며 “중국은 모든 것을 정치적 협상과 외교로 해결하는 것을 선호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