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천 전략홍보본부장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이번 사건을 '헌정질서를 위협·유린한 초대형 게이트', '국가기관의 초대형 간첩 조작사건'으로 규정, "국가기관의 신뢰를 뿌리째 뽑고 외교적 망신까지 초래한 심각한 사태에 대해 국회 법제사법위, 외교통일위, 안전행정위 등 관련 상임위를 망라하는 종합적인 국조특위를 구성해 국조를 실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 본부장은 "대공심리전이라는 이유로 국민을 공작과 사찰, 감시의 대상으로 삼아 기본권을 침해한 위험한 상황에 대해 국조 말고는 답이 없다"며 "국조 후에 사후보완적으로 별도의 특검을 요청할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박근혜정부는 행정부처 차원에서 당장 사실 관계를 파악함과 동시에 정직하게 진상을 공개하고 국정원장, 법무장관, 외교부 장관 등의 법적, 정치적 책임을 엄중하게 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주당은 국정원 등 국가기관의 대선개입 의혹에 대한 특검과 함께 이번 사건에 대한 국조를 2월 국회의 최대 과제로 선정, 본격적인 원내 협상에 들어간다는 방침이다. 2월 국회에서의 여야 합의를 거쳐 3월에 국조를 실시하자는 것이다.
민주당 등 야당 법사위원들도 기자회견에서 "박 대통령은 불법·부실수사에 대한 철저한 지휘감독을 방치하고 증거를 위조조작한 사건의 당사자인 황 장관과 남 원장에 대한 책임을 물어야 한다"며 검찰 공소유지 과정에 대한 조사 및 감찰 착수를 요구했다.
이들은 17일 법사위 회의에서 이 사건을 집중 쟁점화하기로 했다.
반면 새누리당은 조속한 사실관계 규명을 검찰에 촉구하면서도 정확한 실체파악이 먼저라는 신중론을 견지하며 민주당의 국조 요구에 선을 그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