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올림픽에서 단연 뜨겁게 달아올랐던 이슈는 '안현수' 선수의 국내 '빙상연맹'과의 불통(不通)을 꼽을 수 있다.
러시아로 국적을 바꾼 안현수 선수가 쇼트트랙 남자 1000m에서 금메달을 딴 데 대한 국민들의 응원ㆍ환호ㆍ열광과 그를 내친 연맹에 대한 비난의 여론이 들썩였기 때문이다.
이 같은 '안현수 현상'은 비단 올림픽에서만이 아닌 우리나라 정책을 추진하는 관(官)에서도 볼 수 있다. 정부는 올 들어 최우선 역점과제로 부채가 높아진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고강도 경영정상화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부채 증가는 국가 산업의 공공기관 전가, 낙하산 인사 등에 따른 정부의 정책 실패에서 기인된 면이 크다는 점은 국민들 모두가 아는 사실이다. 방만경영을 퇴출하겠다는 정부의 구호는 지난 노태우 정부 때부터 25년간 줄기차게 강조해 왔지만 여전히 개선된 점이 없다.
또 공공기관장을 비롯해 감사, 사외이사 등 주요 보직 자리에는 여전히 정치권과 권력기관 출신의 '낙하산 관행'도 끊이지 않고 있다. 다수의 공공기관을 보유하고 있는 산업통상자원부만 봐도 현 정부 들어 한수원 등 3개 기관에서 낙하산 인사가 사장을 꿰차고 있으며, 한전 등 8개 기관에 15명에 달하는 낙하산 인사가 주요 보직을 차고 있는 실정이다.
상황이 이런데도 정부는 모든 잘못을 이들 공공기관에 떠넘기는 데 바쁜 모습이다. 오히려 윽박지르며 군기잡기식 압박을 통해 책임을 지라는 불통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안현수 선수가 해외로 귀화를 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도 연맹 내부의 파벌 싸움과 패거리 문화 등에 따른 편 가르기에서 비롯됐다고 한다. 방만경영 개혁이라는 이름으로 공공기관을 무조건적으로 내치기보다는 책임을 함께 지고 가는 정부의 모습을 기대해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