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EB 개념도. [이미지 제공 = 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는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해가 발생해도 국민들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기후변화 대비 건축물 안전관리 대책’을 추진한다고 2일 밝혔다.
대챆에 따르면 우선 폭설·폭풍·지진 등에 관한 건축물 하중기준이 기상이변에 대비해 개선된다. PEB 등 특수 건축물은 설계 적정성을 건축심의를 통해 검증받고 도면에 맞게 견실하게 시공되었는지를 건축구조기술사 등 전문가로부터 확인을 받아야 한다.
국토부는 먼저 지진 및 기후변화 대응 소규모 기존 건축물 구조안전성 향상기술 개발을 지난해 5월부터 추진 중이다.
경주 리조트에서 문제가 된 적설하중 기준은 올 5월까지 지역별 적설하중 기준을 개선키로 했다. 개정 전까지는 모든 건축물에 지붕 기울기가 3분의 1 미만인 경우 1㎡당 습설하중을 25kg 추가하고 관측소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산지 등 국지 폭설이 있었던 지역은 지역절설하중을 상향 적용할 수 있도록 허가관청에게 권고했다.
작은 설계 또는 시공 부실에도 구조체가 일시에 붕괴되는 구조적 특징이 있는 PEB 구조는 허가권자가 건축허가 하기 전에 건축심의를 하도록 했다. 설계·감리 과정에 건축구조기술사가 참여해 설계도서 및 감리보고서를 확인하도록 건축법시행령도 곧 개선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또 현재 PEB 구조에 대한 불법 용도변경을 조사 중이며 다중이 이용하는 시설에 대해서는 허가권자가 당초 허가받은 구조와 용도로 사용되는 지를 주기 점검토록 하고 위법 사항 적발시 시정명령 및 이행강제금을 철저히 부과할 예정이다.
한편 ‘건축법 시행령’과 ‘건축구조기준’을 연내 개정하고 건축물 안전강화 TF를 운영해 3월말 구체적인 시행계획을 추가 발표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