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취재현장>'겉만 그럴싸' 서울시 축제 내실화 기해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3-02 17:5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정경부 강승훈 기자


아주경제 강승훈 기자 = '4월 한강 여의도 봄꽃' '5월 중랑천 장미문화' '6월 서초구 반포서래 한불음악' '9월 신당동 떡볶이' '10월 송파구 한성백제문화제' '10월 이태원 지구촌' 등등.

올 한 해 서울시내 곳곳에서 펼쳐지는 대표적 축제들이다. 이와 관련, 서울시는 최근 시비 12억원을 들여 자치구의 주요 축제 25개와 소규모 지역축제 61개 등 모두 86개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들 축제에 예산 및 행정적 도움으로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는 한편 서울의 브랜드가치를 높인다는 구상이다. 더불어 동네 주민들 간 소통의 장으로 역할을 하겠다는 것이다.

취지는 우후죽순처럼 생겨난 행사의 명칭 만큼이나 그럴싸하다. 공동체 지속성을 강조한 박원순 서울시장의 도시주거재생 프로젝트와도 연관성이 있어 보인다. 그렇다면 외형처럼 그 속도 알찰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절대 그렇지 않다.

앞서 서울시가 외부기관에 용역을 줘 펴낸 '2012 문화예술축제행사 평가연구보고서'를 보면 그 현황이 고스란히 드러난다.

서울의 18개 대표 축제를 대상으로 전문가 기본평가(100점)에 시민, 전공자, 동호회 등 수용자 의견을 반영(20점)한 종합결과는 평균 C등급(84~73점)으로 나왔다. 척도는 S(120~109점), A(108~97점), B(96~85점), C, D(72~61점), E(60점 이하) 6개다. 자치구에서 받아든 성적표는 그야말로 낙제점인 셈이다.

축제별 성적은 그 시기나 내용의 차별성에 따라 일부 차이가 있겠지만 홍보 및 캠페인 목적, 시민 눈높이 외면, 독창성 결여 등이 공통적인 개선 사항으로 지적됐다. 시비에 더해 적게는 수천만원, 많게는 수십억원의 구비를 투입하면서 관계자들 '그들만의 잔치'로 전락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서울시민의 많은 수가 서울을 상징하는 볼거리·즐길거리로 특정 기업에서 여는 '서울 세계불꽃축제'를 꼽기도 한다. 본격 축제 시즌에 앞서 서울시는 매년 되풀이되는 금전적인 보탬이 적절한지 돌아보고, 해당 자치구들은 비용 대비 시민들의 호응을 얻었는지 꼼꼼히 따져봐야 할 것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