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03/03/20140303095037373872.jpg)
아주경제 채명석 기자 = 국내 중소기업 10곳 중 5곳 이상은 글로벌 경기회복세와 정부의 규제완화조치에 대한 기대심리로 올해 매출액이 지난해보다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전경련중소기업협력센터(이하 협력센터)가 매출액 5억원 이상 100억원 미만의 국내 중소제조업체 1000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해 3일 발표한 ‘2014년 중소기업의 경영환경 전망과 경영혁신 수요조사’ 결과에 따르면 347개 응답기업의 54.8%(190사)가 올해 매출액이 작년보다 증가될 것으로 응답했다. ‘작년과 비슷하다’는 30.3%(105사)이었으며, ‘작년보다 줄어든다’는 14.9%(52사)에 불과했다.
국내 중소기업들은 올해 내수와 수출전망에 대해 ‘내수와 수출 모두 증가한다’(40.6%) 에 가장 많이 응답했고, ‘내수와 수출 모두 감소한다’(11.5%), ‘내수는 감소하고, 수출은 증가한다’(8.9%)가 뒤를 이었다. 수출을 하지 않는 내수 중소기업은 ‘내수 증가’(22.5%)가 ‘내수 감소’(7.5%) 보다 15.0%p 더 많았다.
내수가 증가한다고 응답한 기업들은 ‘경기회복 심리 개선으로 인한 설비투자 증가’(48.6%)와 ‘정부의 규제완화와 경기부양 조치’(20.4%), ‘물가안정, 취업자수 증가로 인한 실질구매력 향상’(14.7%) 등을 내수 증가요인으로 꼽았다. 반면, 내수가 감소한다고 응답한 기업들은 ‘대기업 투자환경 악화로 국내물량 축소·해외생산 확대’(43.9%)와 ‘가계부채 증가·전세가 상승으로 소비심리 위축’(39.8%)‘을 내수 감소요인으로 지적했다.
수출이 증가한다고 응답한 기업들은 ‘세계교역 신장세 확대로 수출여건 개선’ (35.8%), ‘미국․EU 등 선진국의 경기상승’(31.8%)을 수출 증가요인으로 꼽은 반면, 수출이 감소한다고 응답한 기업들은 수출 감소요인으로 ‘미국 양적완화 축소로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 지속’(33.3.%), ‘환율불안으로 수출 채산성 악화’(31.8%)를 지적했다.
한편, 응답 중소기업들은 ‘안정적 거래처 확보와 신규시장 개척’(34.6%), ‘독자적인 기술과 제품경쟁력 강화’(30.3%)를 올해 가장 중요한 경영목표로 꼽았다. 그 밖에 ‘미래 성장아이템 및 사업모델 발굴’(12.4%), ‘원활한 자금조달·재무건전성 유지’(12.0%)의 순으로 응답했다.
올해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제1 정책과제에 대해 응답 중소기업의 절반가량(46.8%)이 ‘기술역량 제고와 아이디어 발굴과 사업화 지원 강화’를 꼽았다. 이들 기업은 ‘R&D 자금 확대, 기술거래 활성화, 기술보호 강화 등 기술 역량 제고’ (25.9%)가 가장 많았고, ‘혁신적 아이디어 발굴과 사업화 지원시스템 강화’(20.9%), ‘수출, 해외투자 지원시스템 보강으로 중소기업의 글로벌화 촉진’(18.9%)가 등이 뒤를 이었다.
양금승 협력센터 소장은 “우리경제가 새로운 성장동력 창출을 촉진하여 저성장기조를 탈피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이 기술혁신형 새로운 사업모델을 발굴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사업화할 수 있도록 경영환경을 만들어야 한다”며, “정부는 R&D 지원과 사업화 지원시스템 마련 등을 통해 중소기업들이 미래 성장동력 창출의 주역이 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