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03/03/20140303111706430305.jpg)
3일 교육부는 초등학교 5학년생, 중학교 2학년생, 고등학교 1학년생 각 1만5000명씩 모두 4만5000명을 표집해 다음 달 인성 검사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교육부 관계자는 “인성 교육의 중요성이 필요하다는 사회적 인식이 높아지고 있지만, 이에 대한 개념이 저마다 다르고 학생들이 어떤 덕목이 부족한지 구체적인 자료가 없어 이번 조사를 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검사는 정직, 절제, 자율, 책임 및 성실, 배려 및 소통, 예의, 정의, 시민성, 인류애, 지식 및 지혜 등 10개 덕목을 살펴본다. 실제 평가는 각 덕목마다 하위 요소 28개씩 전체 문항은 170개를 통해 진행된다.
예를 들어 핵심 덕목 ‘정직’의 하위 요소로 ‘솔직성’, ‘용감성’으로 구성된다. ‘자율’이란 핵심 덕목에는 ‘자기이해’, ‘자기존중’, ‘자기결정’이란 하위요소가 있다. 이 하위요소와 관련된 질문에 대해 학생이 스스로를 평가해 6점 척도(1점 매우 그렇지 않다~6점 매우 그렇다)로 점수를 매기는 방식으로 펼쳐지는 것이다.
‘정직’의 핵심 덕목의 하위 요소인 ‘솔직성’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친구들이 나를 보고 솔직하다고 말한다’, ‘나는 거짓말을 잘 하지 못한다’, ‘나는 야단을 맞더라도 사실을 있는 그대로 말한다’ 등 문항에 자기 평가를 하도록 한다.
이 같은 항목들은 인성교육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와 초·중·고등학교 현장 교사들의 서면 면담을 통해 추린 것으로 알려졌으며, 교육부는 이달 중으로 예비검사를 통해 문항의 난이도, 신뢰도, 타당도를 검증해 문항을 최종 확정하기로 했다.
이번 검사는 도시·농촌 간, 대도시·중소도시 간 지역별 차이를 알아보고자 서울, 광역시, 중·소도시, 읍·면 등으로 나눠서 진행되며 추후 정례화할 예정이다. 또 교육부는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급별 인성교육 정책 방향을 수립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