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의 신당 창당 합의에 대해 이틀째 공식적인 입장은 내놓지 않고 있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2일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이 신당 창당을 선언한 뒤 기자들을 만나 "청와대의 반응은 없다"며 "새누리당이 내놓을 논평에나 귀를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그러면서 “지금 어디서도 반응을 취재할 수 없을 것”이라는 말을 덧붙였는데, 실제 정무수석이나 정무비서관 등은 전화를 받지 않고 있다.
청와대는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의 신당 창당 합의에 대해 사전에 전혀 모르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청와대와 새누리당은 ‘(야권통합이) 예견된 수순이었다’며 애써 태연한 척하는 모습이지만, 박근혜 대통령 집권2년차를 안정적으로 끌고 가기 위해선 오는 지방선거에서 좋은 성적을 거둬야 한다는 점에서 지방선거 전략 수정이 불가피하게 됐다.
야권통합으로 선거 구도가 '보수 대 진보'․ ‘민주 대 반민주’ 구도로 재편되면서 정권심판론에 힘이 실릴 가능성이 높아졌다.
국정원 대선개입 의혹 규명을 위한 특검과 ‘서울시 간첩사건’과 관련한 국정원 문서 조작 의혹 특검, 기초연금 등 대선공약 후퇴를 놓고 야권 공세 수위도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당장 기초선거 공천폐지에 합의한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이 대선 당시의 공천폐지 약속을 지킬 것을 박 대통령에게 압박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청와대와 새누리당은 사실상 중진차출을 비롯한 총동원령을 내리는 한편, 순회경선을 통한 경선 흥행몰이에 나서기로 하는 등 필승전략에 몰두하고 있다.
새누리당은 5선의 남경필 의원과 유정복 안전행정부 장관, 원희룡 전 의원에게 각각 경지지사와 인천시장, 제주지사 출마를 종용하는 것을 비롯해 중진 등에 대한 총동원령을 내렸다.
남 의원과 유 장관, 원 전 의원은 선거판이 요동치는 상황에서 '선당후사'를 요구하는 당내 목소리가 점점 커짐에 따라 출마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