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콘텐츠 시장 진출 확대 추진

  • 제7차 창조경제위원회서 중 콘텐츠 시장 진출 확대방안 확정

아주경제 이한선 기자 = 정부는 6일 최문기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주재로 제7차 창조경제위원회를 개최하고 중국 콘텐츠 시장 진출 확대방안, 글로벌 엑셀러레이터 육성계획을 확정하고 2013년 창조경제 실현계획 추진실적 및 2014년 주요 추진과제에 대해 논의했다.

문체부, 미래부 등 콘텐츠 관련 유관부처는 중국 콘텐츠 시장에 대한 정보 제공 강화, 중국 내에서 저작권 보호 지원, 우리나라 콘텐츠의 현지화 지원 등의 내용을 포함한 중국 콘텐츠 시장 진출 확대 방안을 마련했다.

우리나라 콘텐츠 기업에 중국 시장 정보 제공을 강화하기 위해 콘텐츠 종합 포털(www.kocca.kr)과 온라인비즈니스센터(www.kobiz.or.kr)를 적극 활용해 중국 콘텐츠 관련 정책 자료를 제공할 계획이다.

우리나라 콘텐츠 기업에 대한 중국 현지 사업 지원을 위해 주중한국문화원, 한국콘텐츠진흥원 베이징사무소, 코트라 무역관, 관광공사 지사 등을 활용해 무역ㆍ통상 관련 컨설팅, 현지 전문가를 활용한 멘토링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저작권 보호를 위한 법률 컨설팅을 지원하는 한편 저작권 침해 발생 시 경고장 발송 등의 구제조치를 확대할 계획이다.

우리나라의 우수한 방송ㆍ애니메이션ㆍ스마트 콘텐츠의 현지화를 위해 중국어 번역, 더빙 등을 지원하고 한ㆍ중 공동제작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콘텐츠 수출은 경제적 효과뿐만 아니라 국가브랜드 가치 제고를 통해 제조업과 서비스업 등 연관 산업의 수출에도 긍정적 파급효과를 주고 있다.

중국은 일본에 이어 우리 콘텐츠 수출 2위 시장으로 중국에서 게임, 방송, 드라마, K팝의 한류로 인한 경제효과는 수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 콘텐츠 시장은 129조원 규모로 미국, 일본에 이어 세번째로 큰 시장이고 정부주도의 기반산업 발전과 적극적인 지원정책으로 영화, 애니메이션 등의 분야에서 지속적인 고성장이 예상된다.

지금까지 중국은 콘텐츠 산업 전반적으로 저작권 인식 부족, 유통구조 불투명, 문화산업 정책 및 제도 등에 대한 공식발표 부족, 언어·관습 등 문화적 차이 등으로 우리나라 콘텐츠 기업들이 진출하는 데 어려움이 있어 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