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BC는 현재 한국에 있는 탈북자가 2만 5000여 명이고 공식적으로 재입북한 것으로 밝혀진 이는 13명이라며 "2만여 명도 통합하기 어렵다면 통일 후 북한 주민 2000만 명을 흡수했을 때는 무슨 일이 벌어질까"라고 질문을 던졌다.
또 탈북자의 실업률이 한국 평균의 3배 이상이고 이들 가운데 절반 이상이 우울증을 겪었으며 젊은 탈북자의 25∼30%가 한국 사회에 어울리지 못해 떠나려고 한다는 조사결과도 밝혔다.
BBC는 먼저 탈북해 한국에 온 지 20년 된 김형덕 한반도평화번영연구소 소장의 북한 방문 노력을 소개했다.
김 소장은 "나는 한국에서 성공한 것처럼 보이지만, 북한에 있는 부모님도 볼 수 없고 친척들도 만나지 못한다"며 "합법적이고 공개적으로 북한을 방문할 방법을 찾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말했다.
그는 몇 해 전 중국에 있는 북한 대사관을 찾아 명절을 맞아 고향을 방문하고 싶다고 말했다가 자신이 탈북자임을 안 북한 대사관에서 화를 냈다는 사연도 소개했다.
그는 탈북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1996년 북한에 있는 가족을 만나려 중국으로 밀항을 시도했다 붙잡혀 집행유예 판결을 받았고 2005년에는 탈북자 가운데 처음으로 당국의 허가를 받아 금강산 관광을 다녀오기도 했다.
또 탈북자의 실업률이 한국 평균의 3배 이상이고 이들 가운데 절반 이상이 우울증을 겪었으며 젊은 탈북자의 25∼30%가 한국 사회에 어울리지 못해 떠나려고 한다는 조사결과도 밝혔다.
BBC는 먼저 탈북해 한국에 온 지 20년 된 김형덕 한반도평화번영연구소 소장의 북한 방문 노력을 소개했다.
김 소장은 "나는 한국에서 성공한 것처럼 보이지만, 북한에 있는 부모님도 볼 수 없고 친척들도 만나지 못한다"며 "합법적이고 공개적으로 북한을 방문할 방법을 찾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말했다.
그는 몇 해 전 중국에 있는 북한 대사관을 찾아 명절을 맞아 고향을 방문하고 싶다고 말했다가 자신이 탈북자임을 안 북한 대사관에서 화를 냈다는 사연도 소개했다.
그는 탈북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1996년 북한에 있는 가족을 만나려 중국으로 밀항을 시도했다 붙잡혀 집행유예 판결을 받았고 2005년에는 탈북자 가운데 처음으로 당국의 허가를 받아 금강산 관광을 다녀오기도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