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4일부터 진행된 한·중·일 FTA 제4차 협상에서는 3국간 양허 방식, 협상 진행 프로세스 등 상품분야 모델리티 주요 요소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다만 세 나라는 상품 분야의 개방 범위, 협상 방식 등을 포함한 '모댈리티'(Modality·협상 가이드라인) 합의를 목표로 했으나 마지막까지 견해차를 좁히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초민감·민감·일반품목군 비율과, 농·축·수산물 개방 수위 등 핵심 쟁점에서 입장차가 있었다.
또 상품 분야 외에 서비스·투자, 경쟁 등의 분야도 작업반 회의를 열어 협정문에 들어갈 주요 사안에 대해 논의를 진행했다. 하지만 지적재산권 분야 작업반 회의는 중국측 협상 담당자의 사정으로 열리지 않았다.
산업부 관계자는 "일본측이 한중 FTA 협상을 의식해 상당히 적극적으로 나오고 있다"며 "다음 협상에서는 모댈리티에 대한 합의가 이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이번 협상에 우리 측은 우태희 산업부 통상교섭실장을, 중국 측은 왕셔우원(王受文) 상무부 부장조리를, 일본은 나가미네 야스마사(長嶺安政) 외무성 경제담당 외무심의관을 수석대표로 한 대표단이 참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