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3월 그린북 발표…'회복 조짐'만 6개월째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3-11 10:1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김정우 기자 = 정부가 한국 경제에 대해 회복조짐이 강하지만 회복세가 견고하지는 않다는 평을 이어갔다. 지난해 10월 이후 여섯달 째 같은 표현이다.

기획재정부는 11일 내놓은 ‘3월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을 통해 “우리경제의 회복조짐이 점차 강화되고 있으나 투자 등 민간부문 회복세가 아직 견고하지 않은 모습”이라며 “미국 재정ㆍ양적완화 리스크와 이에 따른 신흥국 불안, 엔화 약세 등 대외 위험요인은 여전하다”고 밝혔다. 아직까지 회복에 대한 확신을 갖지 못하고 있는 모습이다.

기재부는 최근 우리경제가 고용ㆍ물가 안정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광공업ㆍ서비스업ㆍ건설업ㆍ공공부문 등 전분야의 생산이 증가한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1월 고용시장은 전월 56만명 수준이었던 취업자 증가폭이 70만5000명으로 껑충 뛰며 호조를 나타냈다. 고용률 또한 58.5%로 전년 동월 대비 1.1%포인트 상승했다.

2월 소비자 물가는 전월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며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전월대비 상승폭(0.3%)은 1월(0.5%)에 비해 감소했고, 전년 같은 달과 비교해도 1%대 초반을 유지했다.
 
1월 광공업 생산은 휴대폰, 자동차를 중심으로 0.1% 증가했고, 서비스업 생산은 설 연휴 효과로 0.9% 늘어났다.

2월 수출은 유럽연합(EU), 아세안 및 정보기술(IT)제품 수출호조로 전년 동원 대비 1.6% 늘어나는 등 증가세를 유지했다. 수출입차도 9억3000만달러로 흑자를 지속했다.
 
민간소비 역시 개선흐름을 나타냈다. 1월 소매판매는 개별소비세 인하에 따른 자동차 판매 증가, 설 연휴 효과 등으로 2011년 3월 이후 34개월래 최대 증가폭(2.4%)을 나타냈다.
 
다만 1월 설비투자지수는 전월 대비 4.5% 감소했고, 2월에도 기업 투자심리 상승 등 긍정적 요인과 개별소비세 인하효과 소멸 등 부정적 요인이 혼재해 있어 조정을 받는 모습이다.
 
정부는 지난달과 마찬가지로 미국의 양적 완화 리스크, 이에 따른 신흥국 불안, 엔화 약세 등을 우리경제의 대외 위험요인으로 지목했다. 해외경제에서는 최근 크림반도를 둘러싼 우크라이나 사태 추이를 지켜봐야할 부분으로 지목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대내외 경제동향에 대한 점검을 강화하고 대외 충격에 대한 선제적 대응과 내수활력 제고, 민생안정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며 "서비스산업 규제 개선과 경제체질 개선을 위한 정책 노력도 지속적으로 병행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