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홍원 국무총리는 12일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담화문을 통해 “정부는 오는 20일까지 대화를 통해 국민의 건강을 위해 어떤 것이 최선인지, 의사협회가 무엇을 원하는지 논의하고 그 결과를 국민들께 소상히 밝히겠다”고 말했다.
또 “진정성 있는 대화 의지를 보이기 위해 의료법 개정안의 국무회의 상정을 유보했다”며 “의사협회도 하루 빨리 집단휴진을 철회하고 대화에 나서 국민의 불안을 해소하기 바란다”고 밝혔다.
정부가 대화 종료 시점을 20일로 정한 것은 24일부터 6일간 진행되는 2차 집단휴진을 막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2차 휴진은 지난 10일 이뤄진 1차 휴진과 달리 응급실과 중환자실 등 필수진료 인력까지 모두 파업에 나설 예정이어서 대규모 의료공백이 불가피하다.
의사협회도 이전과 달리 정부와의 대화에 긍정적인 자세를 보였다. 의사협회 관계자는 이날 “대정부가 일방적인 의료정책 강행을 멈추고 대화에 나선다면 언제든 대화에 임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정부와의 대화 재개가 곧 파업 철회는 아니라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파업 시작과 종료는 회원들의 뜻에 달려있다”며 “정부와의 합의안이 나오면 파업 결의 때처럼 찬반투표를 실시해 종료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와 의사협회의 대화는 이르면 이번 주부터 재개될 예정이다. 대화가 중단된지 보름만이다. 양측은 이미 수차례 물밑 접촉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양측은 올 초 의료발전협의회를 구성해 원격의료 등에 대한 합의문을 발표했다. 그러나 의사협회 집행부가 합의문에 반발하고, 협회 소속 의사들의 파업 찬성률이 높게 나타나 지난 10일부터 의료계 파업이 시작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